판문점 JSA·철원 DMZ 지뢰 제거 시작

국방부, 오늘부터… 남북 군사분야 합의 이행 본격화

남북간 체결된 군사분야 합의에 따라 1일부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과 강원도 철원의 비무장지대(DMZ) 일대에서 지뢰 제거작업이 본격화된다. 이들 지역에서의 지뢰 제거 작업은 평양 정상회담에서 서명된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의 본격적인 이행을 의미한다.

 

국방부 관계자는 30일 “내일부터 JSA 일대를 비롯해 시범적 공동유해발굴지역인 강원도 철원의 화살머리고지에서 지뢰와 폭발물 제거작업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남북은 군사분야 합의를 통해 10월 1일부터 20일까지 판문점을 감싸고 있는 지뢰부터 제거하기로 했으며 화살머리고지 지뢰제거는 11월 30일까지 끝내기로 한 상태다.

 

다만 남북 정상이 담소를 나눴던 도보다리 주변 습지에 대해서는 통행이 불가능하고 작업 난항이 예상돼 별도의 지뢰 제거 작업은 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도 우리 군의 작업 시간에 맞춰 자체적으로 판문점 일대의 지뢰 확인과 제거작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뢰제거 작업이 진행되면 남·북·유엔사 3자 협의체가 가동돼 JSA 비무장화 이후 적용할 근무규칙, 양측 비무장 군인들의 근접거리 합동근무 형태 등의 규정 마련을 논의하게 된다.

 

남북은 JSA에서 비무장한 남·북한군 각 35명(장교 5명, 병사 30명)이 함께 근무하는 공동경비형태를 복원할 계획이다. 원래 JSA에는 정전협정의 정신에 따라 1976년 도끼만행 사건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없었고 남북 경비 초소도 혼재되어 있었다.

 

지뢰와 폭발물 제거작업이 이뤄지는 DMZ의 화살머리고지에는 국군전사자 유해 200여 구, 미국과 프랑스 등 유엔군 전사자 유해 300여 구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가운데 남북공동선언 이행추진위원회는 연내 동·서해선 철도와 도로 착공식을 열기 위한 현지조사를 10월 중 착수하기로 했다.

 

이행위는 평양공동선언을 속도감 있게 이행해 남북관계를 새로운 높은 단계로 도약시키고,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북미 비핵화 협상의 진전으로 연결시키며, 이행과정에서 국민적 합의를 강화하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대한다는 세 가지 기본방향 아래서 후속조처를 마련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연내 동·서해선 철도와 도로 착공식을 위해 10월 중 현지조사가 착수돼야 하므로, 유엔사와 협의하기로 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