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대선에 이어 올해 6·13 지방선거로 중앙과 지방의 권력이 전면 교체됐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승리의 여세를 몰아 ‘지방 권력 교체와 지방 적폐 청산’을 구호로 내세워 지방선거에서 압승했다. 인천시도 친문의 핵심인 박남춘 시장이 압도적인 지지를 얻어 당선됐고, 시의원 1명을 제외한 32명이 민주당에서 당선됐다.
이렇게 출범한 박남춘 인천시 지방정부가 100일이 지났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곳곳에 시정의 잡음만 노출돼 실망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겨우 출범 100일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에 불과해 섣부른 평가라고 치부하기엔 그 진상이 녹록지 않다. 공무원 승진 인사와 공기업 등 산하 기관장 인사 잡음, 그리고 지역 현안에 대해 또렷한 원칙과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되지 않아 새로운 시 정부의 교체 의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자칭 최고의 인사전문가라며 소통하는 인사를 강조했으나 취임 후 단행한 인사부터 잡음에 시달리며 공무원사회에 급기야 ‘인사 농단’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적재적소’가 아니라 ‘적소적재’를 외치며 시행한 인사는 과거 전임시장의 전철을 답습하거나 모호한 원칙으로 인천시청을 혼란에 빠지게 하고 있다. 기대에 실망한 직원들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 인사팀장을 공모하고 직원들의 인기투표로 결정하는 전대미문의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다.
인천의 주요한 현안을 현장에서 진두지휘하는 산하기관장과 씽크탱크인 인천연구원의 수장도 모호한 원칙과 학연 및 측근 배려로 차일피일 미뤄지는 등 인사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기대에 부응하는 신선함과 과감한 추진력을 보여주지 못함으로써 실망을 넘어 포기로 발전하는 것 같다. 17개 광역단체장의 직무수행 지지도 여론조사에서 꼴찌를 기록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10월8일 조직개편과 더불어 단행한 인사에서도 적소적재의 원칙은 고사하고 단지 보직의 재발령에 그치고 있어 또 다른 실망을 낳게 했다. 인천경제청에 버금가는 원도심재생기구를 후보 시절부터 약속하였으나 그 모습은 기존의 2국을 관할하는 본부를 두고 이를 관장하는 개방형 전문가를 공모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원도심 현장에 필요한 조직과 인력의 확대 없이 국과 과의 이름만 새로 작명한 것이다.
‘시민이 반응하지 않는 소통은 의미가 없다’라고 강조했듯이 박남춘표 소통과 과감한 결단과 추진력이 필요한 때다. 인천시민은 그렇게 인내심이 강하지 않다. 격의 없이 시민에게 다가가고 의전을 파괴하는 신선함이 진정성으로 연결되어 시정의 모티브로 작동해야 한다. 매사 지나친 신중함과 우유부단이 무책임과 결정 장애로 고착되는 우려를 깊이 되새겨야 한다. 충분히 준비된 시장으로서 100일의 시정은 결코 짧은 기간이 아니다. 이제 다시 한번 새로 출범하는 각오로 초심을 조속히 재점검하고 결연히 나갈 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