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재취업 임금수준, 10명 중 4명이 50% 이상 감소
재취업 후 근속기간 1년 미만, 1년~2년, 2년 이상 순
재취업 경험이 있는 40세 이상 중장년 10명 중 4명은 재취업 후 임금이 이전 주된 직장에서보다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이하 협력센터)가 발표한 ‘2018년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재취업 후 임금수준은 주된 직장대비 ▲50% 미만이 38.4%로 가장 많았고, ▲50%~60% 감소가 19.4%, ▲60%~70% 감소가 15.5% 순이었다. 이전 주된 직장 임금보다 높게 받는다는 답변은 1.8%에 그쳤다.
주된 직장 퇴직 후 ‘재취업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구직자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4.8%로 나타났다.
중장년이 주된 직장에서 퇴직한 이유는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라는 응답이 56.6%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정년퇴직(21.4%), ▲사업부진, 휴·폐업(13.3%) 순으로 나타났다.
재취업한 회사에서의 근속기간은 ▲1년 미만이라는 응답이 45.4%였으며, ▲1년 이상~2년 미만 29.2%, ▲2년 이상 25.4%로 조사됐다. 특히 재취업한 5명 중 1명은 6개월 이내에 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중장년일자리센터 이인숙 선임은 “재취업 못지않게 안착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며 “빨리 능력발휘를 해야 한다는 조바심을 버리고, 차분히 새 업무에 익숙해지도록 적응기를 잘 버텨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취업한 회사에서 퇴사한 사유는 ▲계약기간 종료(27.5%)를 가장 많이 꼽았고 ▲사업장 경영악화(21.5%), ▲고용불안, 기업성장 가능성 불투명(12.3%) 순으로 답했다.
협력센터 배명한 소장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 후 경력에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가 어렵고, 임금 수준도 점점 낮아지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보다 적극적인 장년고용 활성화 대책과 함께, 정부의 중장년 채용지원제도 또한 확대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백상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