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이면 우리나라에서 전통적 도보 보병부대는 사라지고 기동화 부대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보병부대의 가장 작은 단위인 분대까지 차륜형 장갑차와 K200 장갑차, 소형 전술차량 등이 배치돼 모든 전투원이 도보가 아닌 차량으로 이동시키겠다는 것이다.
육군은 18일 충남 계룡시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국정감사 업무보고에서 보병부대의 전투원과 장비를 기동화, 네트워크화, 지능화하는 ‘백두산 호랑이 체계’를 2030년까지 모든 부대에 적용할 예정이다. 모든 전투차량은 전투원의 생존성 강화를 위해 방탄기능과 원격사격통제장치(RCWS)도 장착하게 된다.
부대구조도 바뀐다. 북한의 위협 대비에 초점을 맞췄던 데서 미래의 다양한 위협에 대비하는 유연한 구조로 개편된다.
이를 위해 육군은 현재 사단 중심의 전투체계를 여단 중심으로 개편하고 모듈형 부대구조를 도입키로 했다. 현재 1개 사단에 3개 보병연대와 1개 포병여단이 고정됐지만, 2030년 이후 연대는 사라지고 사단 예하에 여단만 배치되는 구조로 바뀐다. 사단 예하에 2~5개 여단이 배치될 수 있고, 여단이 독립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든 전투원에게 전투복, 방탄복, 방탄헬멧, 수통, 조준경, 소총 등 33종의 전투 피복과 전투 장비로 구성된 미래 전투체계인 ‘워리어 플랫폼’이 보급된다. 모든 부대에 드론봇이 전력화돼 유ㆍ무인 복합전투체계가 구축된다. 또 모든 전투 플랫폼은 네트워크로 연결돼 전장 정보가 공유되고, 지휘관이 목표 타격 등의 결정을 내릴 때 인공지능(AI)의 도움을 받게 된다.
육군은 병력감축 추세에 맞춰 첨단과학기술군으로 거듭나기 위해 ‘히말라야 프로젝트’도 추진하기로 했다. 히말라야 프로젝트에 따라 육군은 국방과학연구소(ADD)등 연구기관과 육군본부 간 기술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과학기술참모(CTO)를 두고 과학기술그룹과 과학기술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드론봇 전력화를 2020~2024년 국방중기계획에 반영해 내년에 대대급 드론봇 전투실험을 한 뒤 2020년 이후 여단급 드론봇 전투실험을 하기로 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