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유엔 3차 회의… JSA 자유왕래 협의

신규 초소·감시장비 설치 조정
JSA 남북 공동근무 수칙 마련

▲ 6일 판문점에서 열린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를 위한 남•북한•유엔사 간 3자협의체 3차 회의에서 남측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과장, 북측 엄창남 대좌, 유엔사 측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 해밀턴 대령 등이 회의를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 6일 판문점에서 열린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를 위한 남·북한·유엔사 간 3자협의체 3차 회의에서 남측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과장, 북측 엄창남 대좌, 유엔사 측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 해밀턴 대령 등이 회의를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방문객의 자유왕래 방안 등을 협의하는 남북 군사 당국과 유엔군사령부의 3자 협의체 제3차 회의가 6일 판문점 남측지역인 자유의 집에서 열렸다.

 

국방부는 이날 “오늘 회의에서 지난달 26∼27일 실시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 검증결과를 상호 확인·평가하고, 공동경비구역 내 상대 측 지역에서의 남북 간 합동 경비근무 방안, 감시장비 조정 및 정보공유 방안, 향후 JSA 방문객들의 자유왕래 방안 등에 대해 협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는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해 한·미간 이견이나 속도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간 군사합의 핵심인 JSA 비무장화를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유엔사와 ‘협의’해 이뤄진 것이어서 의미가 남다르다. 남북간 군사분야 합의의 사실상 첫 실천적 이행이며, 유엔사와 ‘협의’가 이뤄졌다는 것은 미국이 향후 남북 군사분야 합의 이행 과정에서 긍정적인 입장을 취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낳게 하고 있다.

 

남북 분단과 군사 대치의 상징인 JSA에서 모든 화기와 초소를 철수한다는 것은 일단 한반도의 냉전 종식을 위한 역사적 첫 걸음을 뗐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남북간 군사적 긴장 완화의 역사적이고 실질적인 전기(轉機)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향후 군사분야를 비롯해 남북관계 개선 전반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회의에는 우리 측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과장(육군 대령) 등 3명, 유엔사 측 버크 해밀턴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미 육군 대령) 등 3명, 북측 엄창남 육군 대좌 등 3명이 각각 참여했다.

 

남북은 ‘9·19 군사합의서’에 명시된 JSA 비무장화 이행 과정에서 JSA 내 북측 초소 5곳과 우리 측 초소 4곳을 폐쇄했다. 앞으로 JSA 자유왕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북측 초소 2곳과 우리 측 초소 2곳을 신설하고 감시장비도 새로 설치해야 한다. 신규 초소 설치 및 감시장비 조정이 끝나고 이에 대한 남·북·유엔사의 평가도 원활히 이뤄지면 이달 중 JSA 자유왕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달 중에 JSA 자유왕래가 가능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늦어도 연내에는 자유왕래가 실현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