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만에 ‘남북 보건회담’ 재개…전염병 확산 예방·의료물품 지원 논의

폼페이오·김영철 고위급 뉴욕회담 연기

남북 보건의료 분야 협력을 논의하기 위한 분과회담이 7일 개성에서 열렸다. 남북 대표단은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과 ‘의료사업 강화’를 주제로 보건의료협력에 초점을 맞췄다. 남북이 보건협력과 관련, 회담을 연 것은 2007년 12월 남북보건의료·환경보호협력분과위원회 이후 11년 만이다.

 

이번 회담에는 남측에서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과 권준욱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장, 김병대 통일부 인도협력국장 3명이 대표단 자격으로 참석했다. 북측에서는 박명수 보건성 국가위생검열원 원장 등 3명이 회담에 나왔다.

 

보건의료협력 분과회담에선 복지부가 북측에 보낸 기본입장을 설명하고, 북측이 이에 대해 의견을 내는 방식으로 비공개 진행됐다.

 

이번 회담은 지난 9월 평양공동선언에 따라 마련됐다. 당시 남북 정상은 전염성 질병의 유입과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조치를 비롯한 방역과 보건·의료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회담에서는 전염병 유입 및 확산방지, 결핵, 말라리아 등 주요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의약품·의료장비를 대여하는 협력 방안과 모자보건을 위한 지원책 등이 논의됐다.

 

한편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간의 고위급 회담이 연기됐다. 미 국무부는 7일(현지시간) 국무부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에서 “서로의 일정이 허락될 때 회담 일정을 다시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고위급 회담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밝힌 ‘영변 핵시설’에 대한 불능화 조치와 그 상응 조치에 해당하는 초기 단계의 제재 완화 내지는 해제를 놓고 이견을 조율하는 만큼 막판까지 물밑에서 의견이 오갔을 것으로 예상된다. 막판에 이견을 해결하지 않고 섣불리 회담을 해서 양측이 정치적인 부담을 안기보다는 조금 더 의견을 조율하는 방향으로 선회했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일정상 문제로 연기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번 북미 고위급 회담에 이어 폼페이오 장관이 참석하는 미·중 외교안보대화가 다음 날(9일) 워싱턴에서 개최되면서 일정상 조정이 불가피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