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쯤 전이었다. 어머니, 아내와 주말을 맞아 수원 인계동에서 점심을 한 후 산책을 하고 있는데 거리에 ‘수원시민과 함께 반드시 특례시를 실현하겠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눈에 띄었다.
그걸 본 어머니와 아내는 나에게 “특례시가 뭐야”라고 물었고, 난 “광역시는 아니고, 경기도 소속 시ㆍ군으로 있으면서 다른 지역보다 조금 더 권한을 갖는… 뭐 그런 게 있어”라고 대답했다.
내 대답에 어머니와 아내는 심드렁한 말투로 질문을 쏟아냈다. “광역시면 광역시지 특례시는 또 뭐래”ㆍ“괜히 공무원만 늘어나는 거 아니야?”ㆍ“특례시가 된다고 우리 생활이 달라질 게 뭐가 있나”ㆍ“사람이 적게 사는 지역도 배려해야 하는 거 아닌가?” 등등. 그 질문 속에 “아! 일반 시민들에게 ‘특례시’는 아직 이 정도 밖에 다가가지 못했구나”라는 것이 느껴졌다.
그런데 2주 후인 지난달 30일, 정부가 ‘제6회 지방자치의 날’을 맞아 인구 100만 이상 도시에 ‘특례시’ 명칭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은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과 재정분권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시민들에게는 아직 멀게만 느껴졌던 특례시가, 그렇게 어느 날 실현됐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특례시가 전혀 준비 없이 맞이한, ‘도적같이 찾아온 해방’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특례시가 첫발을 내디딘 만큼 해당 지역도 특례시가 되기 위한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례시 탄생에 가장 큰 지분을 갖고 있는 수원시는 그동안 특례시가 되기 위한 많은 준비와 노력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수원시의회 역시 최근 ‘수원특례시 추진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채택하고 특례시에 걸맞은 지방의회의 역할 등에 대해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수원시 뿐만 아니라 앞으로 특례시 대상 지역들은 다양한 준비 작업을 펼칠 것이다.
그러한 준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특례시민’이다. 시민들에게 더욱 적극적으로 특례시를 알리고, 지지를 얻어 ‘시민들에게 환영받는 특례시’ㆍ ‘시민들이 자부심을 갖을 수 있는 특례시’가 되길 기대한다.
이호준 사회부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