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뢴트겐 인류애와 공유정신

1895년 11월 8일은 독일의 과학자 뢴트겐(1845~1923)이 X-선을 발견한 날이다. 당시 뷔르츠부르크대학의 물리학 연구소장인 그는 여러 종류의 진공관에 전하가 방전되면 외부와 어떤 작용을 하는지 실험을 했다. 그중에는 음극선 발생장치인 크룩스관도 있었다.

뢴트겐은 레나르트가 발견한 음극선 형광 재현 실험을 하면서 크룩스관을 검은 마분지로 싸서 빛이 새나오지 못하게 막았다. 그리고 실험실 불을 끄고, 크룩스관의 전원을 켰다. 그러자 1m 떨어진 곳의 백금시안화바륨을 바른 스크린이 빛을 냈다. 크룩스관을 나온 빛이 마분지를 투과해 비친 것이었다. 두꺼운 책도 투과했다. 실험을 계속 했다. 그 빛은 나무 고무 등도 모두 통과했다. 1.5㎜ 두께의 납만 예외였다. 그 빛은 기존에 알려진 음극선이 아니었다. 그는 알 수 없다는 뜻에서 그 빛을 ‘X선’이라고 이름 지었다. 그러다 보통 광선이 사진 건판에 감광되어 사진이 찍히듯이 이 빛도 건판에 감광될 것이라는 생각이 떠올랐다. 그래서 아내의 손을 사진 건판 사이에 넣고 사진을 찍었다. 사진에서 손가락뼈와 결혼반지는 선명했고, 뼈 둘레의 근육은 희미했다. 이것이 사람 뼈를 찍은 최초의 X선 사진이다.

뢴트겐은 뷔르츠부르크 물리학회에 논문 ‘새 종류의 광선에 대하여’를 제출했다. 그 후 1년 만에 X선 관련 논문이 1000종, 단행본 50권이 출판되었다.

1901년 뢴트겐은 제1회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상금을 뷔르츠부르크대학에 과학 발전과 장학금을 위한 기금으로 기부했다.

그때 그의 부유한 친구가 찾아와서 X선을 특허등록하면 상업적으로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며 제안을 하지만 그는 단호히 거절한다. X선은 자신이 개발한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것을 발견한 것이므로 X선은 자신의 전유물이 아니며 모든 인류가 X선이 가져다줄 유익을 공유해야 한다고 했다. 그 결과 X선 관련 연구로 노벨상을 받은 사람들이 20명이 넘는다.

뢴트겐의 위대한 발견을 바탕으로 개발된 방사선 진단장비를 한의사들은 사용할 수 없다. 전세계에서 DOCTOR면허를 부여한 의료인 중 유일하게 대한민국의 한의사만이 과학적 진단기기의 제한을 받고 있는 것이다. 환자의 질병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과학적 진단도구를 제한하는 불공정한 규제를 철폐해 한의사들이 더 정확하고 더 안전한 치료를 할 수 있는 날이 속히 오기를 기대한다.

윤성찬 경기도한의사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