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 최하위를 기록하고, 옥스퍼드대 인구문제연구소의 데이비드 콜먼 교수는 ‘저출산 문제로 사라질 1호 국가’라고 우리나라를 지목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저출산 문제에 심각성을 풀기 위해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다양한 대책들을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고, 경기도에서는 1년 이상 거주하면 산후조리비 50만 원을 지역 화폐로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경기도 여주에서는 민선 7기 선거공약에 맞춰 경기도 최초의 여주 공공산후 조리원이 내년 4월 개원을 앞두고 한창 준비 중으로 공공산후조리원의 특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3년~2015년 출생한 자녀를 둔 기혼여성 중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비율은 59.8%나 된다고 발표했고 출산 후 산후조리원 이용이 대중화 되면서 산후조리원의 수도 2009년 419개였던 산후조리원은 2016년 기준 612개로 증가하고 있으며 산후조리원 이용료도 2주를 기준으로 2천500만 원에서 250만 원으로 심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제 산모의 산후조리원문화가 정착되면서 고비용 문제 및 감염, 안전관리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 산후 조리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기에 경기도 여주공공산후조리원이 개원한다. 여주공공산후조리원의 감염 및 안전관리는 병원의 감염체계를 그대로 접목시켜 시설 및 안전강화에 최우선을 두고 진행하고 있다.
복지부에서 발표한 산후조리원 인력의 적정성 및 전문성, 시설의 적정성, 모자동실비율의 적정성, 감염관리, 산후서비스 질 관리 및 의료기관 연계의 적정성에 맞춰 산모와 신생아가 집단 감염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한 산후조리가 될 수 있도록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과 연계한 공공산후조리원을 운영할 예정이다.
그동안 산후조리원이 관리 사각지대에 방치되었던 신생아 집단 감염사고와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여주시에서는 2주에 168만 원의 이용료를 고시하고 공공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믿을 수 있는 서비스로 지역의 건강 관리권을 확보하고, 정형화된 운영모델 제시로 산후 조리원서비스의 안정적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고자 한다. 또한 취약 계층 대상자에게는 5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여주시 조례가 만들어져 지역 주민 누구나 이용 할 수 있는 공공산후조리원이 탄생 할 것을 기대해본다.
조미숙 경기도의료원 운영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