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서비스로 삶의 질이 획기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과거, 공장에서 기계가 블루칼라의 수를 절반으로 줄였다면, 닥쳐오는 산업 인공지능화는 화이트칼라 수를 절반으로 줄인다. 앞으로 인공지능과 공존해야하는 미래 사회에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인공지능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2011년 일본에서는 ‘로봇은 도쿄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가?’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인공지능 ‘도로보군’은 도쿄 대학에 합격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해 각 시험 과목을 공략하며 수험생들과 경쟁했다. 책 <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해냄출판사刊)은 포르젝트 책임자이자 일본 국립정보학연구소 소장인 아라이 노리코 교수 신간으로, 지난 2월 일본에서 출간된 후 20만 부 넘게 판매, 현재 일본 사회 교육 미래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고 있다.
현재 도로보군은 유명 사립대학 메이지 대학과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주오 대학 등에는 무난히 합격할 수 있었다. 전체 수험생 중 상위 20퍼센트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수학 영역의 서술형 모의시험에서 전체 수험생 중 상위 1퍼센트 성적을 낼 정도로 우수한 도로보군이 도쿄대학에 합격하는 것은 무리였다.
그 이유는 바로 ‘독해력’이 없기 때문이었다. 도로보군은 문제 문맥을 이해하지 못한 채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통계적으로만 답을 도출했다. 인공지능은 논리, 통계, 확률로 치환되는 것만을 계산할 수 있기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덥다’와 ‘춥다’, ‘맛있다’와 ‘맛없다’ 차이조차도 이해하지 못한다. 결국 의미와 상식의 벽을 넘어서지 못한 셈이다.
저자는 인공지능 개발 과정에서 계산력과 암기력에서 인공지능에 대항할 수 없다면 인간이 심화해야할 능력은 인간 고유의 독해력과 유연성, 판단력이라고 말한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수준을 알기 쉽게 설명하며 미래 사회의 노동시장을 전망한다. 저자는 낙관론을 경계하며 앞으로 인공지능이 수많은 인간의 직업을 대채할 것임을 강조한다. 값 1만6천원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