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11개 초소 방문… 초소마다 각각 7명씩 투입 합의”
남북이 오는 12일 시범철수한 남북 각각 11개 GP를 방문하는 형식으로 상호검증을 하기로 합의했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6일 상호검증 관련 브리핑에서 “남북 군사당국은 그동안 수차례의 실무접촉과 문서교환을 통해 상호검증 문제를 건설적으로 협의해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 차관은 이어 “이 과정에서 군사합의 이행의 투명성 확보가 상호 신뢰를 더욱 확고히 하는데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며 “최전방 GP의 철수·파괴라는 역사적 조치에 이어 상호 방문을 통한 군사합의 이행 검증이라는 또 하나의 분단사 최초 합의에 이르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 상호방문 검증을 위해 1개의 GP마다 남북 각각 7명씩 총 14명의 검증반을 투입하기로 했다. 대령급이 반장이 되며 검증요원 5명, 촬영요원 2명으로 구성되며 남북 77명씩 154명이 검증에 참여한다.
국방부는 남측 검증반 77명 가운데 검증요원 5명씩 총 55명은 공병 전문가 등 현역으로 꾸릴 방침이다. 사진촬영 등 인원에 대해서도 절차를 거쳐 명단을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검증반은 상호 합의된 군사분계선(MDL) 상의 연결지점에서 만난 후 상대측의 안내에 따라 해당 초소 철수현장을 걸어서 방문해 철수·철거 상황을 검증한다. 검증은 11개 GP에 대해 일괄적으로 이루어진다
상호 방문 겸증단은 오전에는 우리 측이 북측 초소 철수현장, 오후에는 북측이 우리 측 초소 철수현장을 방문한다. 아울러 남북 검증반의 상호방문을 위해 남북의 해당 초소를 연결하는 통로를 새롭게 만들 예정이다.
남북이 1개씩 보존하기로 한 GP에 대해서는 완전파괴는 아니지만 병력과 화기 등 군사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조치를 했는지 여부를 살피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군사합의 이행 과정에서 구축된 남북 군사당국간 신뢰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국제 군비통제 노력에 있어서도 매우 드문 모범사례”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이번 상호검증 결과를 토대로 대령급이 대표가 되는 군사실무접촉을 먼저 한 다음 진전된 조치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이후 GP 추가 철수는 남북군사공동위원회 또는 별도의 채널을 이용할 계획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