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만 30년간 140조원 경제효과
대북서부·중부물류기지 조성 목소리
남·북 협력 진전, 대북제재 여부 관건
남과 북이 26일 그동안 끊어져 있던 철도 연결의 첫발을 내딛으면서 후속사업에 속도를 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 구상대로 남북 철도가 이어지고 유라시아 대륙과도 연결되는 ‘철의 실크로드’가 완성되면 막대한 경제적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경의선과 동해선을 중심으로 열차와 도로를 연결하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그리고 있다.
북한 신의주를 거쳐 중국 단둥을 연결하면 12만km에 달하는 중국 철도도 이용할 수 있고, 북한 나진과 러시아 하산을 이으면 9천km가 넘는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타고 중앙아시아와 유럽까지 나아갈 수 있다.
■경기도 물류중심지 성장 발판 마련
경의선 철도와 도로가 연결되면 경기도는 대륙으로 연결하는 물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경의선은 분단으로 단절돼 현재는 서울~파주까지만 운행하고 있고, 파주 문산으로부터 개성까지는 철로가 복원됐지만, 열차 운행은 하지 않고 있다. 경의선이 복원돼 개성과 서울을 잇게 되면 서울부터 부산까지 이어지는 경부선과 연결돼 물류 운송의 중심축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경의선은 또한 한반도 최북단 신의주에서 중국횡단철도(TCR)와 연결되고, 동해선 남측구간은 한반도 동해축을 따라 러시아 하산을 통해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이어진다. 이번 착공식으로 물류기지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경의선을 축으로 파주경제통일특구ㆍ도라산물류기지를 연계한 ‘대북서부물류기지’와 경원선을 축으로 연천특구·동두천-양주 물류단지를 연계한 ‘대북중부물류기지’ 조성이 주요 핵심이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한 ‘연내 착공식 개최’ 약속을 이행한 것이자, 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의 시작을 알리는 선언적 의미도 갖는다.
특히 경의선은 서해경제공통특구와 맞물려 있다. 평양선언에서 합의된 서해경제공동특구는 인천 강화도와 북한 개성·해주, 경기 북부의 파주 등을 연결하는 경제 블록이다.
이 같은 구상이 현실화되면 서해경제공동특구는 기존의 개성공단과 연계돼 남북 경협의 생산 및 물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유라시아 철도의 기점으로 가능해진다.
경제효과는 경의선만 따져봐도 30년간 140조 원에 달할 것으로 한국교통연구원은 추산하고 있다.
동해선이 연결되면 동해안 일대는 물류 중심지로 탈바꿈하고 지역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선은 부산에서 출발해 북한을 관통한 뒤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지나는 러시아를 거쳐 유럽까지 닿는 철로다.
■경의선·동해선 잇고 시베리아횡단철도로 유럽까지 질주
경의선과 동해선 도로 연결도 가장 중요한 사업이다.
경의선 도로는 한반도 서쪽에 있는 1번 국도의 서울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구간으로, 길이가 500여㎞에 달한다. 이 도로는 분단 이후 서울∼개성을 잇는 구간이 끊긴 상태다.
남한의 문산과 북한의 개성 구간(19㎞)을 이으면 서울에서 평양까지 고속도로로 달릴 수 있는 도로망이 완성된다.
남북이 개성∼평양 고속도로를 공동 이용하려면 우선 개성∼문산 고속도로 건설과 개성∼평양 고속도로 현대화 등이 추진돼야 한다.
이 도로는 남측의 수원∼문산 고속도로(2020년 완공예정), 북측의 개성∼평양 고속도로와 연결돼 남북 수도를 잇는 핵심도로축이 될 수 있다. 개성∼평양 고속도로 구간은 터널과 교량들이 많아 경제속도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의선 구간 중 남측 구간인 문산∼도라산 구간(11.8㎞)의 고속도로 건설 공사는 최근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받아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었다.
현재 서울∼도라산 도로는 국도 1호선인데, 새로 왕복 4차로 고속도로를 건설해 서울∼문산 고속도로 개통과 맞출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 안팎에선 미국의 유화책에 반색하면서도 결국 대북제재 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아래서는 철로에 쇠못 하나 마음대로 박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과 북의 철도협력 진전은 북한의 비핵화 속도와 궤를 같이할 전망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