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에 이산가족 화상상봉 추진된다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영상편지 교환이 설 명절을 기점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통일부는 14일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 및 영상편지 교환과 관련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달 설 명절 전후로 추진될 수 있다는 관측이 일고 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보통 (이산가족 관련 행사를) 명절 계기로 추진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이 오는 2월 4~6일 설 연휴를 전후한 시점에 성사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백 대변인은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에 대해 남북 간에 합의가 있었다”며 “작년부터 (협의가) 시작이 됐고 남북 간에 그리고 국제사회와 협의해 나가면서 지금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산가족 문제의 시급성 등을 감안해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산가족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은 지난해 9월 남북 정상이 합의한 평양공동선언에서 남북 적십자회담을 통해 이산가족의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적십자회담은 아직 열리지 않았으나, 남북은 이와 관련한 논의를 서면으로 이어오고 있다. 이와 함께 한미 정부가 워킹그룹 등을 통해 화상상봉과 관련한 대북 제재 문제도 협의를 진행해 왔다.

정부는 이번 주 말께 열릴 전망인 한미워킹그룹 화상회의에서 스크린과 광케이블 등 화상상봉에 필요한 장비를 북한에 반입하는 문제를 미국과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장비 제재 문제가 해결되면 2007년 11월 이후 11년여 만에 화상상봉이 이뤄지게 된다. 화상상봉은 2005년 8월15일을 시작으로 3년여 간 7차례 진행됐으며, 총 567가족 3천748명이 모니터를 통해 가족과 만났다. 하지만, 2008년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중단됐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