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통과 협치로 지역현안 해결해야

청라국제도시 총연합회가 지난 16일 청라 광역폐기물소각장 폐쇄 등을 요구하며 주민 250여명이 청라소각장 앞에서 횃불집회를 개최하고 무기한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이어 오는 23일에는 홈플러스 청라점에서 LH청라영종사업본부까지 상여를 메고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의 장례를 치르는 퍼포먼스 등 주민총궐기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청라지역 현안에 대한 인천시와 경제청의 불통행정을 지적하면서 주민들이 대규모 집단행동에 돌입하는 것이다. 청라소각장은 2015년 시설 내구연한이 만료됐고 노후화로 처리용량도 420t으로 떨어져서 청라주민들은 폐쇄와 이전을 요구했다.

이에 박남춘 인천시장은 “시민이 수용하지 않는 사업은 절대 추진하지 않는다는 것이 저의 시정원칙이다. 그렇다고 해도 대화는 필요합니다. 시민 여러분과 함께 의제를 공론화하고…”라고 밝혔다.

인천시 고위관계자도 청라소각장을 이전할 후보지를 거론하고 있으며 수도권매립지 대체부지가 선정되면 그곳에 매립장과 소각장을 함께 건설하는 것도 검토대상이라고 했다. 인천시가 비교적 적극적인 해결의지와 대안을 검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상황이다.

청라시민의 집단행동은 여러 측면에서 이해되는 면도 있지만, 그동안 인천시와 경제청에 대한 쌓여온 불만을 강력한 지역이기주의로 표출되는 모습이 강한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지난 연말에 시작한 시민청원에서 여러 가지의 이유를 들어 경제청장 사퇴를 요구하는 청원이 성립되었고 또한 소각장 폐기 청원도 성립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시장의 답변을 듣지 못한 것이 그 출발이다. 근본적으로 인천시 행정에 대한 강한 불신과 송도에 비해 경제청의 차별적인 행정이라는 오해에서 비롯되었다.

광역폐기물소각장은 전형적인 지역 혐오시설로써 누구나 내 집 앞에는 원치 않는 그러나 지역생활에 필수적인 광역공공시설이다. 이러한 시설은 지역 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민감한 시설로써 현명한 대처와 주민의 슬기로운 지혜가 요구되는 어려운 특성을 갖는다. 광역시민으로서 행정의 신뢰성에 기반하여 소통하면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각자의 노력이 특별히 필요하다. 내 집 앞에는 기필코 안 되면 남의 집 앞에도 불가능함을 공감해야 한다. 따라서 집단행동에 앞서 소통의 노력을 우선해야 한다.

박남춘 인천시정부는 무엇보다도 시민의 의사를 존중하는 시정원칙을 앞세우고 있다. 시민이 시장이라는 시정원칙을 실천하기 위해 시장 직속의 2급 소통협력관을 두고 산하에 4개의 담당관을 관할하게 하였다. 조직을 정비하여 그 실천 의지를 보여주고 있으나 아직 일천하여 그 성과는 미흡한 상황이다. 시민은 더 이상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것을 직시하여야 한다. 소통은 탁상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하는 것이다.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