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아직 오지(奧地) 경기북부

이선호 정치부 부장 lshgo@kyeonggi.com
기자페이지

경기북부가 낙후됐다는 이야기는 어제오늘 이야기는 아니다. 낙후 이유는 수도권 규제 더하기 북한과 맞닿은 탓이 크다.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국군은 물론 미군까지 경기북부 전 지역에 주둔했다. 이로 인해 훈련에 나선 전차들이 좁은 1차선 도로를 점령하기 일쑤였고 여중생이 전차에 치여 숨지기까지 했다. 이밖에 군 사격장에서 날아온 파편, 수해로 떠내려 온 ‘목함 지뢰’를 밟아 신체 또는 재산상 피해를 당한 주민도 많다.

냉전시대 남북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시절, 국가 안보라는 이유로 이같은 피해를 경기북부 주민들은 참아야 했다. 경기북부는 원래 집 고치기도 어렵고, 마을 앞 도로도 1차선이 당연한 줄로만 알았다.

북한과 인접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도권임에도 개발에서 소외됐지만 수도권 규제는 규제대로 고스란히 다 받아야 했다. 말이 수도권이지 경기 북부 접경지역은 경기도의 오지(奧地)라는 불명예를 썼다.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지역을 떠나 인구는 줄었고 폐가는 늘어났다.

그러나 남북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이런 경기북부의 희생을 인정하고 알아주니 다행이다. 세월이 지나 보니 경기북부 지역이 대한민국을 위한 희생한 곳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경기북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대한민국을 위해 특별한 희생을 한 지역에 대한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 지사가 경기북부 방문 횟수를 늘리고, 북부 현안 등을 직접 챙기며 직원들과 소통하는 모습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경기북부는 배가 고프다. 어느 정도 지원했으니, 이만하면 됐다는 인식을 경계해야 한다. 경기북부 주민들의 소외감은 여전하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산업단지 등 경제시설, 병원 등 복지시설 등이 경기남부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해 경기 남ㆍ북 불균형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도로, 철도망도 더 확충하고 정비해야 하고 답보 상태인 미군부대 이전 공여지 활용 등 북부 현안이 산적해 있다. 경기도는 물론 정부차원에서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한 경기북부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이 이어져야 한다.

이선호 정치부 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