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토교통부는 항공운송사업 신규면허 심사 결과를 발표, 저비용항공사(LCC)인 플라이강원과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등 3사에 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를 발급하겠다고 밝혔다.
플라이 강원은 강원도 양양공항을 거점으로 하고 있으며, 에어로케이는 충북 청주공항을 거점으로 하고 있다. 결국 이번 방침은 매년 수십억 원의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지방 공항을 살리자는 목적이다.
그러나 비관적인 시선을 보내는 전문가도 있다. 공항에 비행기가 아무리 많이 늘어도 중요한 것은 비행기를 ‘탈 사람’이 있느냐 인 데, 지방은 인구 자체가 적어 수요가 크게 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 공항에서는 이번 정부의 조치를 크게 반기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공항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좋다. 지방 공항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다양한 노력을 한다는 데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수도권 하늘길도 보자. 정부의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을 보면 현재 수도권 시민들의 하늘길을 책임지고 있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은 2030년께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 인천국제공항의 여객 이용자 수는 지난 2015년 4천800만여 명에서 지난해 6천800만여 명까지 41%가량 늘어나는 등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공항을 새로 건설하기 위해서는 10년이 넘는 시간이 필요하다. 지금부터 수도권에 ‘대안공항’을 추진한다고 해도 2030년까지는 빠듯하다.
수도권 대안공항이 들어서야 하는 위치는 자명하다. 서울은 공항을 조성할 만한 여유 부지가 없고, 인천은 세계적인 공항을 이미 갖추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는 김포공항이 유일하며 1천만 명이 살고있는 경기남부에는 단 한 개의 민간공항이 없다. 경기남부 시민들은 비행기를 타고 1시간 거리의 제주도를 가기 위해 2시간가량 이동해 인천ㆍ김포공항에 가야 한다. 심각한 이동권 침해다.
이미 늦었다. 경기남부에 ‘수도권 대안공항’을 조성해 1천만 명의 새로운 하늘길을 열자.
이호준 사회부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