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경기硏 “수소경제 활성화 위해 생태계 조성”
정치 경기뉴스

경기硏 “수소경제 활성화 위해 생태계 조성”

“도내 수소차·수소충전소 보급 지원체계 필요”
김태형 도의원 대표발의 조례, 도의회 상임위 통과

경기도와 일선 지자체가 수소차 보급과 인프라 확충에 소극적으로 대응(본보 3월25ㆍ26ㆍ27일자 1면ㆍ28일자 3면ㆍ29일자 1면)하는 가운데 경기도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지원체계 구축과 관련, 생태계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기연구원은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수소경제 미래를 생각하다’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이 되면 수소산업은 한국에서 70조 원의 부가가치와 60만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며, 수소전기차의 연간 매출액은 2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올해 초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내걸고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2022년까지 수소차 3천 대, 수소충전소 27기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도의 수소차 보급은 7대에 불과하며 수소충전소는 연구용만 3곳이 있을 뿐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충전소는 없다. 또 서울, 부산, 충남 등 다른 광역시ㆍ도에서는 국비 외의 수소차 구매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나 경기도의 도비 지원금은 없는 실정이다.

김군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비 보조금을 신설,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세계 주요국들이 수소경제를 선도하고자 과감한 투자를 하는 상황에서 수소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형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의회에서는 관련 조례안이 상임위를 통과, 첫 관문을 넘게 됐다.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지난 29일 안건 심의에서 김태형 의원(더불어민주당ㆍ화성3)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보급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조례안’을 가결했다. 이 조례는 도지사가 수소차 등 환경친화적 자동차 구입비용과 충전시설 설치 및 운영, 기술개발에 재정 지원을 하도록 하는 내용 등을 담았다. 해당 조례안은 4일 본회의에 상정돼 최종 심의된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