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가 해양 바이오 사업을 중심으로 남북교류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지난달 27일 벨기에 마틸드 왕비의 공식 방문을 기념해 개최한 ‘남북 공동 해양 글로벌 프로젝트’ 심포지엄에서 갯벌 유전화 사업과 민간 차원의 한반도 해양바이오 사업에 대해 협력을 논했다.
이날 한태준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총장대행을 비롯해 총 14개국 15개 기관에서 참가한 각계 연구자들은 ‘남북한 해양 글로벌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협약식(MOU)을 가졌다. 이들은 학술과 산업기술 교류를 통해 한반도 해양바이오 블로 이코노미를 실현할 계획이다.
남북한 해양 바이오 프로젝트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세계 5대 갯벌로 평가받는 한반도 갯벌을 가치화하는 것으로 인천과 황해도 지역 갯벌을 유전화 하는 사업이다. 규조류 1만㎡에서 빼낼 수 있는 바이오디젤은 대형 승용차 제네시스를 최대 750대 채울 수 있는 분량이다. 이 사업은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연간 16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국내 갯벌 규조류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융복합 생물탐사 플랫폼과 스마트 바이오매스 생산 시스템 구축을 준비 중이다. 규조류가 바이오디젤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낼 수 있는 ‘갯벌유전’을 실현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한반도 해조류 평화벨트를 구축하는 ‘레드골드’ 사업이다.
학교가 주목하는 해조류 중 하나는 우뭇가사리(한천)다. 우뭇가사리는 식재료로뿐 아니라 미생물 배양에도 이용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특히 의약품(치매치료제)과 화장품, 숯, 활성탄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소재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포함됐다.
지난 27일 협약식에서는 북한에서 채취한 우뭇가사리 샘플이 공개됐다. 이 우뭇가사리는 북한 마합도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규모가 상당히 큰 것으로 전해졌다.
한태준 총장대행은 협약식에서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이번 프로젝트는 한반도 환경 자원의 가치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평화 정착을 통한 새로운 블루오션을 찾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서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