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대 서비스노조 이끈 앤디 스턴이 던지는 노동 미래를 위한 제언책 ‘노동의 미래와 기본소득’

4차 산업혁명 탓에 급속한 기술의 발전으로 노동환경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인간만이 할 수 있던 업무 영역에 기계와 소프트웨어가 침범했다. 일자리는 갈수록 줄어들고 직업의 불안정성은 커져만 가고 있다.

‘미국 노동조합의 역사를 새로 쓴 대담하고 통찰력 있는 리더’로 평가받는 앤디 스턴이 책 <노동의 미래와 기본소득>(갈마바람刊)을 쓴 이유도 이러한 고민 때문이었다. 그는 1996년부터 2010년까지 북미 서비스노동조합장으로 일하면서 조합원 220만명에 달하는 미국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있는 서비스 노동조합으로 만들었다. 그가 쓴 이 책에는 그가 노동의 미래를 탐구한 5년간의 여정을 담고 있다.

21세기의 새로운 경제 환경에서 노동조합의 역할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그는 CEO, 미래학자, 노조 지도자, 경제학자, 투자가, 역사가, 정치인 등 각계의 전문가들을 만나 의견을 나누며 기술의 발전이 경제와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을 통찰한다. 그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한 가지 대안으로 ‘기본소득’을 제시한다. 앤디 스턴은 자칫 ‘고부가가치 직업에 종사하는 극소수의 고소득자’와 ‘수많은 실업자들’만이 존재하는 기형적인 사회로 전락할 미래를 위한 대안으로 보편적 기본소득의 실시를 주장한다.

그는 “오늘날 경제가 어렵다고 하지만 어쨋든 사람들은 부와 자원이 넘치는 풍요로운 땅에서 살아간다. 기본소득은 우리가 원하는 삶의 형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이다”며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을 우려로 몰아넣은 기술적 진보를 자아실현과 공공 이익을 이끌어내는 힘으로 바꿈으로써 21세기 경제 회복의 잠재적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평했다. 책은 일자리는 줄어들고 직업의 불안정성은 커져가는 이 시대에 기본소득 역할을 세세히 들려준다. 값 1만8천원

허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