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모시러 왔습니다”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각) 수도 누르술탄(옛 아스타나)에서 독립운동가 계봉우 선생과 황운정 선생 부부의 유해를 봉환했다. 문 대통령은 유해 봉환식을 주관하며, 추모사에서 “네 분을 모시는 것은 대한민국 정부가 당연히 해야 할 임무이며 독립운동을 완성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머나먼 이국땅에서 생을 마감하신 독립운동가들의 정신과 뜻을 기리고, 최고의 예우로 보답하겠다”고 했다.
카자흐스탄에 안장된 독립유공자의 유해가 국내로 봉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카자흐스탄 애국지사 봉환 사업을 추진해 왔다.
함경남도 영흥 출신인 계봉우 선생은 한글학자이자 역사학자로 1919년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북간도 대표로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1937년 연해주 고려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이후에는 ‘조선문법’ ‘조선역사’ 등을 집필했다. 함경북도 온성 출신의 황운정 선생은 연해주에서 무장투쟁을 했다. 정부는 계봉우, 황운정 선생에게 1995년과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과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추서했다. 정부는 두 애국지사와 배우자 등 4기의 유해를 대통령 전용기 2호로 국내로 모셨다. 유해는 국립묘지에 안장된다.
대한민국의 오늘이 있기까지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다.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등에 살았던 고려인들 또한 일제강점기 혹독한 수난 속에서 항일독립운동에 앞장섰다. 하지만 고려인들은 그동안 모국의 관심과 지원을 크게 받지 못했다.
고려인의 역사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1937년 소련의 스탈린은 연해주 일대에 거주하던 고려인들이 일본의 간첩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17만명을 화물열차에 태워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시켰다. 이때 많은 사람이 추위와 기아로 숨졌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소련의 적성국(일본) 출신이라는 이유로 거주지를 제한당하는 등 차별과 억압이 심했다. 고려인의 공민권 획득은 1956년에야 이뤄졌다. 현재 고려인은 50여만명에 달한다. 우즈베키스탄에만 18만명이 산다.
문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3개국을 순방하면서 특별히 고려인을 챙겼다. 후손들과 만나 “고려인 1세대는 모두 애국자이고 독립유공자”라고 역설했다. 정부가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년을 맞아 고려인 1세대 항일독립운동가 예우에 나선 것은 환영할 일이다. 애국지사를 고국에 모시게 돼 다행이다. 정부는 카자흐스탄과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도 추진하고 있다. 독립운동가 한 분 한 분을 기억하는 것은 우리의 긍지와 자부심을 일깨우는 중요한 일이다.
이연섭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