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년 전 한문으로 쓴 홍길동전이 발견됐다.
한글소설 홍길동전과는 내용이 다른 작품으로, 홍길동전이 최초의 한글소설이며 저자가 허균(1569∼1618)이라는 통념을 깨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지난해 가을 ‘홍길동전의 작자는 허균이 아니다’를 펴낸 이윤석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지소(芝所) 황일호(1588∼1641)가 쓴 홍길동 일대기인 노혁전(盧革傳)을 ‘지소선생문집’(芝所先生文集)에서 찾았다고 24일 밝혔다.
지소선생문집은 황일호의 후손이 1937년에야 간행했는데, 노혁전은 그가 전주판관으로 일하던 1626년에 전라감사 종사관 임게에게 이야기를 듣고 적었다고 한다.
황일호는 노혁전 앞부분에서 “노혁의 본래 성은 홍(洪)이고, 그 이름은 길동(吉同)이니, 실로 우리나라 망족(望族·명망 있는 집안)이다. 불기(不羈·구속을 받지 않음)의 재주를 품었으며, 글에 능했다”라고 써 노혁이 홍길동임을 분명히 했다.
노혁전에서 홍길동은 한글소설 홍길동전 주인공처럼 도둑 우두머리며 어머니 신분이 미천하다.
홍길동은 낮에는 지체 높은 사람과 어울리고, 밤에는 도적질을 했다.
40년간 도둑들을 이끈 홍길동은 갑자기 “대장부가 변화를 당해서는 매미가 껍질을 벗는 것 같아야 하니, 나는 마땅히 지금부터 새사람이 될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무리를 해산했다.
이어 관서 지방 관찰사 홍진동(洪震同)에게 가서 몸을 의탁했고, 여자와 결혼해 자식을 많이 낳고 천수를 누리다 세상을 떠났다.
황일호는 “도적의 꾀를 내다가 늘그막에 깨달아 본연의 선함으로 돌아오는 것이 고리를 굴리는 것 같으니, 이는 호걸의 일”이라면서 “내가 느낀 바 있어 전을 지어 소인을 경계한다”는 문장으로 글을 마무리했다.
이 전 교수는 “노혁전은 전(傳)의 형식을 갖췄지만, 내용상으로는 야담의 전통을 따르고 있으며 사실과 허구가 섞여 있다”며 “당시에 전하는 홍길동 관련 이야기를 모두 모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허균이 한글소설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설의 근거가 이식(1584∼1647)이 쓴 ‘택당집’에 등장하는 “허균은 ‘수호전’을 본떠서 홍길동전을 지었다”라는 문장에 불과하다면서 현존하지 않는 허균의 홍길동전은 같은 시기 인물인 황일호가 적서차별을 비판하며 기록한 노혁전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론적으로 허균이 썼다는 홍길동전과 현대인이 읽는 한글소설 홍길동전은 전혀 다른 작품이라는 것이다.
이 전 교수는 “한글소설 홍길동전은 세상에 전하는 홍길동 이야기를 바탕으로 1800년 무렵 알 수 없는 어떤 작가가 창작했다고 봐야 한다”며 “한글소설 홍길동전에는 허균의 사상이 들어 있다고 말할 수 있는 대목이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전 교수는 한문 홍길동전을 한국연구원, 한국사상문화학회, 동아시아책문화연구학회가 내달 3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여는 ‘한국 고전 정전(古典正典)의 재인식: 우리가 몰랐던 홍길동전’ 학술대회에서 소개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