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미래 직업교육의 방향

우리나라의 교육은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오던 ‘인문고→대학진학→취업’ 일변도 교육으로 이어져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 이것을 벗어나고자 학벌을 탈피한 능력중심사회 구현,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 대학입학제도의 변화 등 다양한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미래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대응하기 위해 지식만을 강조하는 교육이 아닌 융합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직업교육의 비율을 30%까지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양질의 직업교육을 위한 재정적인 지원은 물론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고졸성공사회를 위해 어떤 길을 따라가야 하는지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육부는 학생들의 다양한 성장경로를 구현하기 위해 22년까지 직업계고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를 계획하고 있다.

‘취업 전’에는 중등직업교육 강화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미래유망 분야 학과를 분석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직업계고의 체질을 개선하고,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교과목을 선택하는 고교학점제를 전체 직업계고에 먼저 도입한다. 또한 특성화고에 직업과정 위탁교육을 보낼 수 있는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취업 시’에는 공공부문 고졸채용을 확대하고 공무원 국가직은 20%까지 확대되며 지방직 공무원의 경우는 기술계고 경채 30%로 확대된다.

‘취업 후’에는 사회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 취업자를 대상으로 1인당 300만 원씩 약 2만4천명을 지원하였으며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또한 고졸 근로자역량 개발지원 기업을 확대시키기 위해 중소기업 유급휴가 훈련을 시행하고 고졸 재직자의 대학진학 지원을 위해 고졸 후학습자의 학비를 9천명 지원하였으며 앞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미래직업교육 청사진의 성공을 위해서는 직업계고 미달을 위한 재정적인 지원은 물론 직능별 마이스터고의 확대 신설이 필요하고, 청년 취업률 향상을 위해서는 고졸로서 충분히 사회적으로 자립·성공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또한 고졸 취업 지원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중앙취업센터를 활성화하고 취업지원관을 학교에 지원함으로써 청년취업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

기업은 인성ㆍ기초능력과 실무능력을 갖춘 지역 고졸 인재를 채용하며 지자체에서는 커뮤니티 중심의 교육-취업을 활성화하는 계획을 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졸 성공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인식개선의 노력이 절실하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이루어지는 제도의 변화보다는 교육부, 직업계고, 기업, 지자체의 일관성 있는 노력이 지속될 때 직업 교육은 미래 국가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김재철 삼일상업고등학교 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