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총장 내부인사로 선출·중징계 요구 목소리 높아
지휘부 4명 29일 징계 심의… 학교측 “확정된 것 없다”
조동성 인천대 총장이 교직원 부정 채용으로 이사회 징계위원회를 앞둔 가운데 대학 내부에서는 해임 이상의 징계 요구와 조 총장의 자진 사퇴 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조 총장의 사퇴 등 징계가 확정되면 교육부가 지원하는 각종 재정지원사업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12일 인천대에 따르면 대학 법인 이사회는 오는 29일 징계위원회를 열고 조 총장과 박종태 부총장, 임정훈 교무처장, 이시자 전 사범대 학장 등 4명에 대한 징계 심의를 할 예정이다.
이들 모두 파면·해임·정직(1∼3개월)에 해당하는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조 총장 등 채용심사위원회 위원 4명은 지난해 1월 역사교육학과 전임교원을 뽑는 과정에서 면접에 불참한 A씨를 위해 일정을 바꿔준 사실이 교육부 감사에서 드러났다.
이에 교육부가 대학 법인 이사회에 징계위원회를 개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따라 조 총장의 중징계 일정은 확정됐지만, 대학 일부 구성원들 사이 이사회가 대학 내부 여론을 무시한 채 중징계 수위 중 가장 낮은 정직 1개월의 솜방망이 처벌로 모든 일을 덮으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는 교육부가 징계 결정 시한을 29일 못박은 상태에서 이사회가 당일 오후 3시에 징계위원회를 열기로 했고 결정된 징계내용을 교육부에 보고하면 결과가 무엇이든 그것으로 사태가 끝나기 때문이란 주장이다.
이처럼 소문이 확산하자 대학 일부 구성원들은 이사회의 결정과 관련된 소문은 터무니없다는 반응이다.
더욱이 조 총장의 징계로 인해 대학이 받을 수 있는 불이익을 고려하지 않은 처사이고, 대학을 위한다면 이사회는 징계위원회가 열리기 전에 이사회가 나서서 조 총장의 자진 사퇴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대학 내부에서는 그동안 낙하산 인사 등으로 비판받아온 총장 자리에 대학 내부 인사를 발탁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일부에선 내부 인사를 포함한 2~3명의 차기 총장 후보까지 거론되고 있다.
인천대 한 교수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조 총장이 모든 책임지고 물러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며 “그동안 인천대 총장은 소위 중앙(낙하산) 인사가 많았는데, 이번 부정 채용 사태를 계기로 내부적으로 총장을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인천대 관계자는 “이사회 징계위원회에서 정직 1개월 처분을 내릴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아직 징계 수위에 대해 확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강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