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칼럼] 부다페스트 다뉴브 강의 눈물

꽃만 남은 다뉴브 강가. 연합뉴스
꽃만 남은 다뉴브 강가. 연합뉴스

독일에서 시작해 흑해까지, 유럽의 동과 서를 잇는 젖줄. 바로 다뉴브 강이다. 2천850km의 긴 여정이지만 그 중 단연 아름다운 때는 부다페스트의 밤을 지날 때이다. 화창함과 밝음으로 가득한 5월. 다브뉴강엔 설렘과 함께 유람선을 타고 가던 사람들이 있었다. 행복감으로 가득찬 듯 했지만 그것도 잠시, 이 배는 7초 만에 가라앉고 만다. 때는 5월 29일 여행을 간 한국인 33명은 허블레아니호에 탑승, 오후 9시경 바이킹 시긴호에 의해 침몰 당했다. 바이킹 시긴호는 허블레아니호와 추돌한 직후 후진했다가 사고지점으로 다시 온 후 그냥 항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허블레아니호의 최대 수용 인원은 60명, 길이는 27M인 소형선이었기에 배는 7초 만에 물속으로 자취를 감춰버렸다. 짧은 탈출시간 탓에 한국인 탑승객 33명 중 7명은 구조됐고 실종자 28명 중 13일 현재까지 25명이 시신으로 수습됐으며 3명은 아직 돌아오지 못했다.

경찰은 선장에 대해 부주의와 태만에 의한 인명 사고 혐의가 충분히 인정된다며 구속 영장을 신청했지만 선장 측은 범죄가 될 수 있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반발했다. 선장측의 변호인은 “우리 방어의 본질은 선장이 항해 실수를 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헝가리 법원은 혐의가 충분히 소명된다고 판결, 구속 영장을 발부했다. 바이킹 시긴호의 탑승자 진저 브린튼(66)은 “발코니에서 물속에 빠진 사람들이 절박하게 살려달라고 하는 것을 봤다” 며 “아무것도 느끼지 못해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몰랐지만 동시에 물속에 사람들이 빠져 있는 끔찍한 장면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바이킹 시긴호의 승무원들이 2개의 구명조끼를 던졌다는 것까지 보면 한국인이 빠진 것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추돌 사고에 대해서 헝가리와 대한민국의 정부는 신속하게 대처했다. 침몰사고가 일어난 당일,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인 여행객 피해와 관련해 정의용 국가 안보실장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구조활동에 대해 긴급 지시를 내렸다.

외교부 역시 빠른 인력 파견을 검토했고 행정 안전부와 참 좋은 여행사는 사고자 가족과 접촉했다. 헝가리 당국은 사고 원인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며 다양한 분석을 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다뉴브 강에선 헝가리 주민들은 “한국 어르신들께. 우리가 고통을 통째로 삼키며 기다리겠습니다”라고 추모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헝가리 정부와 우리나라 정부는 서로 협력하며 사고 진실 규명과 선장 처벌, 실종자 수색에 힘을 다해야 한다.

주소연 수원 연무중 3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