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사촌’은 서로 가까이 살면서 정이 들어 사촌 간이나 다를 바 없는 관계를 말한다. 역사를 돌이켜보면 우리나라는 ‘이웃사촌 복’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이웃사촌격인 중국과 일본이 번갈아 가며 우리나라를 괴롭혔다. 특히 치욕스러운 36년간의 일제강점기는 지금까지 목에 걸린 가시처럼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
작금에 와서도 이들 이웃사촌 때문에 대한민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국은 그동안 한반도에서 남북 간 긴장과 갈등이 발생하면 냉정한 대응과 당사자 해결 원칙을 강조해왔다. 그러던 중국이 우리나라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 문제에 대해서는 마구잡이 경제보복에 나서는 등 비이성적인 행동으로 일관했다. 최근에는 미국의 중거리미사일 한국 배치 움직임에 제2의 사드 사태를 경고하며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다.
최근 일본은 대한민국에 경제전쟁을 선포했다. 한ㆍ일 관계는 지난 2012년 말 아베 신조 정부가 들어선 이후 급격히 냉각됐고, 두 나라 국민 간 갈등의 골도 더욱 깊어졌다. 지난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출을 규제한 데 이어 이달에는 백색국가(화이트 리스트) 명단에서 한국을 제외한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의결해 2차 경제보복에 나섰다. 그동안 양국 간 위안부, 소녀상, 징용 등으로 정치적 갈등은 계속돼 왔지만, 이를 경제와 결부시키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번엔 정치적 갈등이 경제로까지 확대되면서 결국 양국 간 경제전쟁으로 확산됐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대한민국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 전국이 일본제품 불매운동으로 뜨겁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시작한 불매운동은 손해를 감수하겠다는 소상공인, 초중고등학교 학생들까지 가세하면서 파급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SNS상에는 연일 반일(反日), 극일(克日)을 논하는 글이 봇물을 이룬다.
정치권과 지자체도 반일 캠페인에 동참하고 나섰지만, 시민들로부터 역풍을 맞았다. 정치권과 지자체가 할 일은 일본 국민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줄 수 있는 반일 캠페인에 동참하는 것이 아니라 양국 간 얽힌 매듭을 푸는 일이다. 불매운동은 국민의 자발적 영역으로 남겨둬야 한다. 촉발한 경제전쟁의 규탄 대상도 일본 국민이 아니라 일본 정부라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일본은 여전히 가깝고도 먼 나라다.
이관식 지역사회부 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