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공공체육시설의 안전관리시스템

대한민국은 국민의 건강복지를 위해 다양한 체육시설을 건립해왔다. 생활권 내에 많은 체육시설이 늘어났고, 많은 국민이 생활체육을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이용하는 체육시설들의 경우, 시설이 파손되거나 위험 요소들이 언제든 생길 수 있어 철저한 관리와 유지보수가 필수임에도 건립만 해왔지 안전관리에 관한 정책과 실행이 미비한 현실이다. 늘 그래왔듯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 되어서야 하겠는가.

국민의 생활권 내 체육시설에 대한 실태 파악과 활성화를 위한 체육시설 안전 인증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체육시설 특히 공공체육시설이 안전한 생활문화시설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의 스포츠 정책이 필요하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이 발표하기를 2019년에는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조사를 해 공공 500개소, 민간 1천 개소 총 1천500개의 체육시설에 대한 실태조사가 진행된다고 한다.

내용으로는 국가 체육시설 이외에 공공 체육시설과 민간 체육시설에 대한 안전 역시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에 민관합동 점검을 통해 먼저 공공 체육시설 180개소, 민간 체육시설 300개소, 긴급점검 10개소 총 490개소에 대한 점검을 시행한다고 한다.

매우 기쁜 일이 아닐 수 없다. 필자는 올해 초 경기도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대 토론회를 통해 “경기도 내 공공체육시설 안전관리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발표와 토론을 했었다. 참석한 전문가 토론을 통해 시급한 정책과 실행이 필요함을 토로했다.

안전한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정책에 누가 의의를 제기하겠는가. 다만, 이 토론 이후 발 빠르게 정책실행을 도와줄 것 같은 많은 분이 다소 주춤하다. 이런 문제는 정치적으로 활용하고 이슈화할 사안이 아닌가 보다.

늘 그랬듯이 ‘사고가 나야 급해지려나?’ 하는 씁쓸한 마음이지만 다행히 경기도 체육회가 조금씩 관심을 보인다. 가장 필요하고 우선적인 사안이라 생각하는 듯하다. 당연하다. 꼭 우선시해야 한다. 우린 안전사고 예방을 못 한 또 다른 희생을 경험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려면 공공체육시설의 인증과 안전복지 정책의 빠른 수립을 제안한다.

공공체육시설 안전점검 및 인증제도는 국민의 건강복지를 위한 맥락 속에서 논의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체육시설 인증제도에 대한 척도와 논의는 현장의 전문가와 안전의 전문가, 그리고 체육 활동 전문가가 다양한 공론화 과정을 통해 제도적 위치와 실행 방안을 명확히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안전이 인증된 공공체육시설에 대해서는 활동의 공공성을 부여하고, 좀 더 확장된 영역을 제공하여야 하며, 기존의 활동을 촉진하는 방향의 지원도 필요하다. 이로써 공공체육시설의 안전 시스템 속에 국민은 생활체육 활동이라는 복지를 편안하게 누릴 것이다.

안을섭 대림대학교 스포츠지도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