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아베 정권이 도발을 했다. 아주 고약하다. 우리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요한 핵심 소재 및 원료를 한국에 판매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상황 추이를 봐가면서 다른 산업 분야에도 이 조치를 확대 적용해 나가겠다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우리 한국이 입는 경제적 타격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일본의 전략과 속내를 잘 알아야 한다. 필자는 이번 아베 정권이 우리에게 가하는 공갈·협박과 위협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6년간 일본을 전공했고 일본사회의 신경망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의 유수 언론사에서의 10년간의 기자생활을 한 바 있는 필자의 경험에서 비춰볼 때, 일본 제국주의 피를 잇는 아베와 같은 전쟁범죄자 추종자들에게 한번 밟히기 시작하면 계속 밟히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렇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은연중에 일본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하나하나 파고들어가면 아는 게 별로 없다. 해박한 전문가를 찾아보고자 해도 의외로 없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일제 강점기에서 태어나 성장한 아버지, 할아버지 세대들은 일본을 잘 안다. 그런데 그들이 아는 일본은 이미 70여 년 전의 일본이다. 이분들은 이미 사망했거나 현역에서 은퇴한 지 오래되었다. 부모세대들로부터 일본에 관한 정보와 지식을 얻어듣다 보니 우리의 지식도 그 시대 일본의 그것들뿐이며 일본에 대한 감정은 강제징용, 창씨개명, 농지 약탈 등 부정적인 면들이 뇌리에 박혀 있다. 그래서 ‘반일감정’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그러다 보니 현재의 일본과 경쟁하고 때로는 협력을 모색해야 하는데 부지불식간에 종종 과거의 일본과 샅바잡이를 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발견하곤 한다.
한국 사회에는 일본에 대한 세대단층 현상이 있다. 1965년 한일국교 정상화 반대 데모하던 세대들이 사회의 원로가 되어 있고 그 맥을 이은 세대들이 막연한 반일감정으로 무장되어 우리의 정치 중심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지일파’(知日派)는 설 자리를 잃어버린 채, ‘반일파’(反日派)나 ‘친일파’(親日派)로 나뉘어 서로 반목하고 대립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나로서는 안타깝기만 하다.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사회 각계각층에 일본전문가들을 많이 육성해야 한다. 특히 일본경제문제에 해박한 전문가들을 유치해야 한다. 경기도는 산업 측면에서 일본과의 관계가 매우 밀접해 있다. 인적자원은 우리 주변에 널려 있다. 재일동포 출신, 일본유학 경험자, 일본과 거래를 하는 기업인 출신 등을 활용하면 된다. 이번 기회에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가칭, 일본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지일(知日) 연구기관’을 만드는 것도 구상해 봄 직하다. 모르면 두렵지만, 상대를 잘 알고 나면 겁나지 않는 법이다.
장준영 전 경기신용보증재단 상임감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