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발탄’의 시대적 배경은 6.25 직후이고 공간적 배경은 해방촌이다. 주요 내용은 철호네 가족의 비극이다. 철호네 가족은 철호, 영호, 철호의 어머니, 명숙, 아내이다. 주인공 철호는 계리사 사무실의 서기로 가난하지만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고 싶어 한다. 영호는 군대 재대 후 2년 동안 일자리가 없어 정직하게만 살려고 하는 철호와 불공평한 사회에 불만이 많다. 어머니는 고향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어 ‘가자’라는 말을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정신 이상자다. 명숙은 양공주를 하며 가족을 부양한다. 아내는 과거 음대의 미녀였으나 결혼 후 힘든 생활 중 임신을 했다. 영호는 자신이 처한 상황과 남들은 다 넘는 법률선을 형 때문에 넘지 못한다는 생각 때문에 형과 말다툼을 한다.
이 이야기에서 ‘오발탄’이란 전쟁 이후 삶의 방향감각을 상실한 사람들의 모습을 뜻한다. 작가는 제목을 ‘오발탄’이라고 지음으로써 6.25 이후 삶의 방향을 잃어버린 전후 시대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했다. 나는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는 약간 정신이 혼란스러워지는 느낌을 받았다. 하지만 책의 설명들과 여러 정보를 얻게 되니 어느 순간 미쳐버린 철호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책을 통해 휴전협정이 모든 이들에게 마냥 좋았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 나는 책을 읽고 어머니가 ‘가자’라고 외치는 부분마다 약간의 무서움과 고통이 느껴졌으며 어머니뿐만 아니라 모든 가족 구성원들을 책임지고 먹여 살려야 하는 철호의 책임감이 얼마나 부담스러웠는지도 느낄 수 있었다. 나는 철호가 비록 미쳐 버렸지만, 그 전까지 자신의 가정을 법적인 선을 넘지 않고 지키려 애썼다는 것이 존경스럽고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이 책을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특히 우리처럼 전쟁을 겪지 못한 어린 아이라면 더욱. 왜냐하면 우리는 전쟁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는 역사 시간, 책, 영화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야기를 듣긴 하지만 사실 그 시대의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떻게 살아갔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다. 나는 작품이 광복을 한 후이고 6.25도 멈춘 상황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니 안정적인 생활을 배경으로 한 것일 거라고 생각했다. 허나 이 소설을 전쟁의 표면적인 어두움보다 더 깊은 내면의 어두움을 보여줬다.
고양 신능중 3 유가연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