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칼럼] ‘양날의 검’ 유전자 조작 기술

지난 3월, 중국인 과학자 허 젠쿠이(He Jiankui) 교수는 “임신촉진 치료를 받던 일곱 커플의 배아에 대해 유전자 편집을 시도했으며, 이 중 한 커플이 출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에 큰 파장을 불러왔다. 대부분의 국가는 과학 윤리 차원에서 아기에게 유전자 편집시술을 하는 것은 물론 관계된 실험을 하는 것조차 엄격하게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법적 규제 이유는 아기의 유전자 편집을 허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그들은 밝혔다. 의료계, 생명과학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유전자 편집을 통해 태어난 아기가 안전하지 못하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의견에 동조하는 크리스퍼 기술의 손을 들어주는 궤변론자들은 유전자 편집기술 관련 연구 방향이 실제 질병 치료나 생물설계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 유전병이나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크리스퍼 기술 개발이 멀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식량난으로 인한 세계 각국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GMO 식품, 즉 유전자 조작 식품은 식품의 생산량을 증대해 식량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또 다른 이면에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기술을 상용화 함에 있어 논란이 되는 부분은 안전성 문제다.

이는 기술적인 한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할 때 원하는 부위의 유전자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지 알 방도가 없다는 점이다. 또한, 이번 유전자 가위기술을 통한 배아 출산처럼 이렇게 유전자 가위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사람의 한 인격체로서의 존엄성이 무시된다는 점이다.

생명과학 기술이 발전하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실험 및 기술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크리스퍼 기술, 즉 유전자 가위 기술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안정성 측면에서 아직은 안전이 보장되지 않았기에 ‘양날의 검’과 같은 특성을 지닌 유전자 가위기술을 현대 사회 속에서 적절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광주 경화여고 2 윤다솜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