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 햄버거, 라면, 떡볶이 단어만 봐도 군침이 돋는다. 여러분은 일주일에 패스트푸드를 얼마나 자주 먹는가? 패스트푸드는 미국에서 1960년대부터 보급되기 시작했고, 한국에는 1970년대 들어와 간편하다는 장점과 젊은 층의 양식화 경향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간단하고 빠르게 먹을 수 있는 장점과는 달리 우리 몸에선 건강 면에선 상당히 치명적이다. 그 이유는 패스트푸드 안에는 열량, 지방, 염분 함유량이 많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은 패스트푸드를 접하기가 더 쉽다.
늦은 학원 스케줄과 싼 가격이 청소년들을 끌어들인다. 하지만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장이 이뤄지는 시기로 적절한 영양 관리가 중요하다. 이때 잘못된 영양 관리는 성인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아침 결식을 포함한 불규칙한 식습관과 영양소 결핍 또한 마찬가지다.
2017년 교육부 학생 건강 검사에 따르면 초등학생 4.7%, 중학생 13.4%, 고등학생 18.1%가 아침을 거른다고 답했고, 13~19세 청소년에서 비타민A, C 영양소를 평균 섭취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높다는 국민 건강 영양조사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아침 식사를 거르고 패스트푸드에 의존하면 바른 성장이 어려우며 건강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는 기름에 튀긴 음식이 많기 때문에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고열량으로 인한 비만 유발이 될 수가 있다는 뜻이다.
이렇듯 건강을 해치는 패스트푸드, 계속 함께할 것인가? 패스트푸드를 줄이는 방법은 대안 식품을 찾기, 집밥을 챙겨 먹기 등 다양하다. 패스트푸드는 대체로 열량이 높아 종종 식사 대용으로 이용된다. 그러므로 집에서 먹거나 도시락을 싸면 당연히 섭취량이 줄어든다. 또한 규칙적인 식습관을 갖기 등 같은 시간대에 같은 양을 먹지는 못해도 최대한 제 끼니를 챙겨 먹는 걸 권장한다. 패스트푸드 구매는 거의 공복감에 의한 충동적이기 때문에 일정한 식습관을 가진다면 패스트푸드에 대한 욕구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야식도 마찬가지이므로 일정한 식습관은 패스트푸드 섭취를 줄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이제부터라도 패스트푸드는 멀리하고 건강한 밥상을 가까이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김포 양곡고 2 박성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