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과 일본, 같은 잘못 다른 대처...진실된 사과는 선택 아닌 의무

김은진 

수원외고 1

독일과 일본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하다. 둘은 전범국가로서 전 세계에 피해를 끼치고 무법자로 모두를 정복하려 했다. 공통점이 너무나 명확하지만 차이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전쟁 이후 둘의 대처방안에 차이가 있다.

전범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남긴 독일은 빌리 브란트 서독의 전 총리 역할이 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1970년 12월 7일,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의 2차 세계대전 시기 희생된 유대인을 기리는 위령탑 앞에서 헌화를 하던 도중 무릎을 꿇었다. 주변 수행원들이 그가 아픈 줄 알았다고 생각할 정도로 그의 행동은 충격을 주었다. 세계 언론들은 “무릎 꿇은 것은 한 사람이었지만 일어선 것은 독일 전체였다”라고 평가했다. 이 사건이 전 세계에 알려진 이후 서독을 대표하는 총리의 과감한 행동은 그동안 전범국가 독일에 대해 가지고 있던 세계인들의 선입견을 보란 듯이 바꿔놓는 계기가 됐다. 이에 대해 빌리브란트 전 총리는 “인간이 말로써 표현할 수 없을 때 할 수 있는 행동을 했을 뿐이다”라고 밝혔다. 이것은 빌리브란트가 시작한 독일 통일 프로젝트에서 더 나아가 유럽 전체의 평화화 통합을 향해 다가가는 ‘동방정책’의 상징적 출발점이 됐다.

반대로 일본은 전범국가의 이미지를 지우지 못한 채 아직까지도 피해를 받은 국가들이 사과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중이다. 일본은 2015년 9월 18일, 새로운 안보법을 제정해 주면 국가나 우방이 공격받았을 때 자국이 공격받은 것으로 여기고 전쟁에 개입하는 권리를 가지게 됐다. 이 안보법으로 일본은 다른 국가에서 벌어진 전쟁에도 군대를 보낼 수 있게 됐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이 평화헌법을 만들어 70년 동안 지켜온 ‘먼저 공격받지 않으면 무력행사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깨졌다. 일본을 대표하는 총리가 전쟁을 일으킨 A급 전범들을 모신 야스쿠니 신사 참배, 역사 교과서에 일본의 과거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등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일본은 중국의 상승세를 의식하며 군사력을 회복해 동아시아를 주름잡았던 과거로 돌아가려고 하고 있다.

일본의 뻔뻔한 전쟁에 대한 대처에 피해를 입은 개인, 국가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역사는 과거의 거울이자 현재에 좋은 본보기가 되는 책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명언이 존재한다. 일본 정부는 이 명언을 상기시키고 전 세계를 전쟁의 늪에 빠지게 만든 장본인으로 이에 걸맞는 대처와 진실된 사과를 해야만 한다. 이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