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의 성공 열쇠는 '시민'

수원시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의 성공적인 연착륙을 위한 자리를 마련해 스마트시티 조성 방안과 사업 방향성을 모색했다.

시는 지난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토크 콘서트ㆍ성과 공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수원시 관계 공무원과 시민, 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시와 국토교통부가 주최한 ‘스마트토크 콘서트’와 단국대 (재)디코리아가 주최한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리빙랩 프로젝트 성과공유회’로 나눠 진행됐다.

1부 토크 콘서트는 박원호 국토교통부 사무관과 김도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의 ‘스마트 시티 특강’으로 시작됐다. 이후 김도년 교수를 좌장으로 조영태 LH연구원 스마트도시연구센터장, 곽호필 수원시정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이 패널로 참여해 이야기를 나눴다.

곽 연구위원은 “전문적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관리하고, 창업ㆍ유통까지 할 수 있는 스마트전문센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영태 센터장은 “리빙랩(시민 참여 연구소)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려면 결국 시민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시민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실용적인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발굴·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2부에서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리빙랩 프로젝트에 참여한 5개 팀이 지난 9월부터 교통, 전통시장, 취약계층·안전 등 4개 분야에서 발굴ㆍ개발한 성과를 발표했다.

교통팀은 주차장 센서를 활용해 행궁동의 공영ㆍ민영 주차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이지 파킹(EASY PARKING)’ 앱, 안전팀은 수원시도시안전통합센터와 연계해 실시간으로 아동의 위치를 확인하고 메시지도 보낼 수 있는 ‘S맘 365’ 앱을 프로토타입(시제품)으로 제시했다.

전통시장팀(2개 팀)은 수원의 관광콘텐츠 정보를 방문객들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앱과 2030세대가 전통시장을 자주 찾을 수 있도록 시장ㆍ점포별 정보를 제공하고 결제 기능까지 갖춘 앱을 제시했다.

취약계층팀은 홀몸 어르신들의 외로움을 완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스피커를 시제품으로 제시했다. 홀몸 어르신들의 취침·기상시간, 병원방문, 여가활동 등 일상을 반영한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를 인공지능 스피커에 적용했다.

행사에 참여한 조무영 수원시 제2부시장은 “시민들이 스마트시티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면서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발굴한 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해 스마트시티 수원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5월 국토교통부 주관 ‘2019 스마트시티 챌린지 공모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국비 15억 원을 지원받아 행궁동에서 ‘에코 모빌리티’, ‘스마트 안전 서비스’, ‘리빙랩’ 등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