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수소경제 추진만이 살길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온 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다. 지구의 기후와 기상이 이렇게 재앙 수준으로 변화된 이유는 온실가스 때문이다. 전 세계는 산업혁명 이후 탄소 경제를 구축해 끊임없이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파리협정’에 가입한 정부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온실가스배출량전망치(BAU) 대비 37%를 감축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온실가스배출의 주범인 탄소를 중심으로 하는 탄소경제하에서는 한계가 있다. 근본적으로 기후이상 재앙과 위험을 막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이루려면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

그 대안은 수소경제가 될 수 있다. 수소경제는 탄소경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가 국가 경제, 사회 전반, 국민 생활 등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해 경제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원의 원천이 되는 경제를 말한다.

지난 1월 17일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로드맵’ 발표를 통해 탄소경제에서 수소경제로의 에너지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했다. 수소를 통한 에너지원의 다변화는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발전보완과 에너지 전환의 이행과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등 기후변화 대응과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필자는 올 초 ‘경기도 수소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발의ㆍ제정한 이후 수소 전기차를 직접 구매ㆍ사용하고 있다. 도 차원의 선제적인 수소경제를 이룰 수 있도록 전담반 구성과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하도록 지속적으로 독려하고 있다.

경기도는 우리나라 수소경제를 이끄는 민관단체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에 뒤늦게 가입했지만, 수소 경제의 모든 기술력을 집약할 가능성의 장소이기도 하다. 수소 도시로 각광받고 있는 미국의 캘리포니아주는 연방정부와 함께 민관파트너십을 결성해 수소에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 대, 수소충전소 1천 개소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도 캘리포니아처럼 ‘수소경제 정책지원’을 구축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함께할 필요가 있다.

수소경제는 경제ㆍ산업적 파급 효과가 큰 미래 성장 동력이다. 수소 전기차는 전기를 생산하고, 깨끗한 수증기와 산소를 배출해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자동차 보유율이 높은 경기도에서 선도적으로 추진하면 효과성은 매우 높다고 봐야 한다.

보다 추진력 있게 수소 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이뤄 나가고 전지의 기술융합을 통한 스마트도시, 스마트 팜, 도시재생, 아파트 분산전원 등에도 수소경제를 점차 이뤄나간다면 경기도가 대한민국 비탄소 경제 중심, 수소 경제의 메카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김태형 경기도의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