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유학생 ‘입국 러시’ 우려… 대학들 ‘개강 연기’

가천대·인하대 등 4주내 개강 조정
‘신종코로나’ 차단위한 고육지책
시교육청, 초·중·고 예정대로 개학
신규 교사 ‘원격연수’로 대체 방침

인천지역 대학들이 교육부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신종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개강연기 권고에 따라 개강을 연기한다.

반면, 인천시교육청은 초·중·고교 개학 연기는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5일 오후 1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3월 신학기 개강 시기를 4주 이내에서 대학이 조정할 것을 권고한다”며“3월 개강시기에 맞춰 입국할 중국 체류 학생들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우려를 종합적으로 검토했고, 안정적인 학사운영도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현재 학칙으로 금지한 신입생과 편입생 첫 학기 휴학 역시 사유가 신종코로나 감염이면 허가해주도록 권고하고, 자율적인 격리나 등교중지, 입국지연 등의 사유로 결석하면 출석도 인정해주도록 했다.

이 같은 교육부 방침에 따라 인천지역 대학들도 신종코로나 확산 방지 채비에 나선다.

우선 가천대학교는 교육부 권고 전 이미 3월 2일 개강일을 3월 16일로 미뤘다.

가천대에는 경기와 인천 캠퍼스를 합해 1천여명에 가까운 중국인 유학생이 있다.

인하대학교와 인천대학교는 6일께 개강연기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현재 인하대에는 700여명, 인천대에는 200여명의 중국인 유학생이 있다.

반면, 인천시교육청은 지역 내 초·중·고교의 개학연기를 검토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장우삼 부교육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학사 일정으로 인해 개학연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아직 확진자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개학연기를 하면 오히려 불안감만 키울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학사 일정에 따라 일선 학교가 자율적으로 개학연기를 결정할 순 있다.

지금까지 인천지역 초·중·고교 중 개학을 연기한 건 공항중학교 1곳이다.

시교육청은 선제적인 개학 연기 대신 확산 방지에 초점을 둔 정책을 펼치겠다는 입장이다.

우선 예비비를 활용해 학교별 방역물품구입비로 10억7천여만원을 지원한다.

현재 일선 학교별로 비치한 1회용 마스크는 총 39만장으로, 교육부 지침 기준치 33만장을 웃돈다.

시교육청이 갖고 있는 마스크 7천700여장에 추가 주문해 계약한 10만장을 더하면 18만장 가까이 확보해둔 셈이다.

또 전교조에서 취소를 요구한 신규 교사 연수는 의무연수인 만큼 원격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김경희·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