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글로벌 AI클러스터로서 성장 잠재력 높아"

성남 판교가 ‘글로벌 AI클러스터’로 발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은 25일 글로벌 AI클러스터로서 판교의 잠재력을 분석한 ‘글로벌 AI클러스터, 왜 판교인가?’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주요 AI기업은 초기 제품·서비스의 도입 이후 기술 확산 단계로 진입했으며, 핵심 사업자를 중심으로 하는 R&D 투자 확대와 플랫폼 기반 AI 산업 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는 단계다.

이런 가운데 판교는 용이한 입지적 환경과 풍부한 스타트업 생태계를 갖췄으며, 혁신자원의 집적지로 많은 잠재력을 가졌다고 경과원은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제1판교는 NHNㆍ카카오ㆍ엔씨소프트ㆍ넥슨 등 1천300여 개 기업이 입주하고, 6만여 명의 임직원이 상시근무하는 등 AIㆍIT 분야의 공공 연구소가 집적된 혁신 클러스터다. 또 제로시티 개념으로 자율주행차ㆍAIㆍ빅데이터ㆍ스마트 시티 등에 특화된 제2판교와 금융 및 ICT 융복합 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되는 제3판교 등의 확장 조성 역시 성장 잠재력을 확대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울러 판교 인근에는 AI분야 우수 이공계 대학이 다수 위치해 있고, 판교에 입주한 기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각종 전문화된 지원 프로그램이 지속 공급돼 활성화된 스타트업 생태계도 갖췄다.

경과원 관계자는 “AI 기반의 혁신성장을 위해 국가 역량을 결집해야 하는 만큼 우수한 조건을 갖춘 판교를 ‘글로벌 AI클러스터’로 육성시켜야 한다”며 “차별화된 R&D 공급확대, AI에 전문화된 인큐베이팅 등이 주요 과제”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