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개학 연기’ 후폭풍… 교복업체 자금난 ‘시한폭탄’

교복 제작 완료… 납품 지연 시름
일부 학교 완납증명서 발급 하세월
부자재업체에 발행 어음 결제 막막
시교육청, 고충의 목소리 해결 나서

전국의 교복업체들이 코로나19에 따른 개학연기 사태에 시름하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은 이 같은 사태를 파악하고 빠른 예산 집행 대책을 마련하고 나섰다.

4일 시교육청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학교주관구매제도를 통해 중·고교 신입생에게 무상교복을 제공하고 있다.

조달청을 통해 공고가 나오면 각 제조업체가 낙찰을 받고, 제품을 완성해 2월말께 납품하는 식으로 교복 공급이 이뤄진다.

제조업체가 학교에 교복을 공급하고 완납증명서를 받으면, 이를 근거로 시교육청이 예산을 집행해 업체에 지불하는 식이다. 이후 이 대금은 각 부자재 업체에게 전해진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개학이 3주 미뤄지면서 곳곳에서 문제가 터져나왔다.

제조업체는 이미 교복 제작을 마쳤지만, 일부 학교에서 개학이 임박해 교복을 받겠다며 물건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또 일부 학교에서는 교복을 납품받은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검수를 마치지 못했다”며 완납증명서 발급을 거부했다.

한 중소교복제작업체 관계자는 “이미 교복은 다 제작을 했고, 당연히 부자재업체에도 어음을 발행했는데 대금만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곧 있으면 어음이 돌아오는데 이를 막지 못하면 제작업체부터 부자재 업체까지 줄도산 위기가 닥친 셈”이라고 했다.

이 같은 문제를 지닌 영세 교복제작업체는 한 학생복 제작협회 측이 파악한 것만 2천여곳이 넘는다.

인천은 중·고교 신입생 수가 전국의 20% 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지역 영세업체들의 위기가 지역경제의 위기로 확산할 우려가 있는 곳이다.

시교육청은 교복업체의 고충을 공감, 관련 문제 해결에 나섰다.

우선 이번 주 중으로 각 학교에 신입생 교복 구입 예산을 내려보내고, 학교들에는 업체에서 교복을 받으면 검수를 거쳐 곧장 예산을 집행하라고 안내하는 방식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교에서 개학을 연기하면 교복도 나중에 받아야한다고 이해하고 있어 잘못된 부분을 다시 안내하고 있는 중”이라며 “교복 검수는 전문위원들이 있는 만큼 제작한 교복을 우선 납품받아 검수하고, 즉시 대금을 지급해 업체들에 피해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