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채소류 및 서류(고구마ㆍ감자) 가운데 항산화 물질인 ‘클로로젠산’ 함량이 가장 높은 품목은 ‘취나물’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8월부터 4개월에 걸쳐 도내 소비가 많은 채소류 및 서류를 대상으로 클로로젠산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클로로젠산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세포 기능 장애를 통해 체내 염증을 유발하는 활성산소의 생성ㆍ축적을 억제해 면역력 강화, 노화ㆍ비만 억제에 도움을 주는 항산화 물질이다.
조사는 취나물, 케일, 상추, 깻잎, 시금치 등 채소류 39품목과 고구마, 감자, 마, 토란 등 서류 4품목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 중 24품목에서 클로로젠산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100g당 클로로젠산 함유량 기준 채소류는 취나물이(38.3mg) 가장 높게 나타났고, 케일(22.9mg), 미나리(10.7mg), 우엉(9.7mg) 순이었다. 동일 기준 서류는 호박고구마(1.4mg)와 홍감자(0.4mg)가 다른 서류보다 함유량이 많았다.
아울러 클로로젠산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한 조리 방법 연구 결과도 발표했다. 취나물과 미나리는 30초가량 데쳤을 때, 감자와 고구마는 채반으로 쪘을 때 함유량이 많게 나타났다. 부위별로는 껍질의 함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도민들에게 일상생활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