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200개 학교 설문조사 결과
경기도교육청이 2019년 예술공감터를 운영한 200개 학교를 대상으로 예술공감터 활동을 설문조사한 결과 ‘만족한다’는 대답이 86.5%로 운영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학생, 학부모, 교사 등 총 1만2천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예술교육 지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학생은 92.16점, 학부모 92.09점, 교사 88.41점으로 집계돼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예술공감터 활동이 학생 정서에 미친 효과’에 대해 △행복한 학교생활에 기여(66.2%) △정서적 안정감(10.3%) △민주시민의식 향상(9%) △자아존중감 향상(7%) 등 예술교육이 자신감ㆍ성취감을 비롯해 예술향유 능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도내 300개 학교에 ‘예술공감터’를 마련해 운영한다.
예술공감터는 학교 유휴공간을 활용해 학생 작품 전시와 공연 등을 하는 공간으로 △학습결과물과 예술동아리 작품을 전시발표하는 전시터 △교육과정과 연계한 문화예술 작품을 공연하는 공연터의 두 가지 유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2018년 100개 학교를 시작으로 2019년에는 200개 학교에 예술공감터를 마련해 운영해 왔다.
올해 선정된 300개 학교는 학생, 교사, 학부모 의견과 학교 여건을 고려해 예술공감터 유형을 정해 조성할 수 있으며, 도교육청은 한 학교당 300만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강원하 도교육청 융합교육정책과장은 “학생이 학교 공간의 주인으로서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해 즐기고, 타인과 바람직한 관계 맺기 경험을 하는 과정에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예술공감터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소규모 발표·전시의 장으로도 활용돼 쉼과 나눔이 있는 문화예술 활동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