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관순 열사는 열여섯 꽃다운 나이에 감옥에서 순국한 독립투사다. 일본의 모진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독립 의지를 불태웠으며, 감옥 안에서도 독립 운동을 이어갔다. 그리고 순국 100주년을 맞는 지금까지도 유관순 열사는 대한민국의 영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만약, 우리가 알고 있던 유관순이라는 인물의 존재 자체가 부정된다면 어떻게 될까. 당장 우리는 엄청난 배신감을 느낄 것이고, 역사책도 다시 써야 할 지도 모른다. 곳곳에 세워진 유관순 열사의 동상도 모두 철거될 수 있다. 그러다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의 머릿 속에 각인된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태극기를 흔들던 유관순 열사의 모습은 서서히 사라질 지도 모른다.
이런 상상을 하게 만드는 영상이 등장했다. 지난 29일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의 '부끄러운 과거TV'라는 채널에 '유관순은 가짜다'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은 지난 2006년 이영훈 전 서울대 경제학교 교수가 동료 학자 20명과 공동 집필한 '해방전후사의 재인식'란 책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우선 해당 영상에서는 '숨겨진 3·1 운동의 진실'에 대해 얘기한다. "교육계에서는 3·1 운동이 강제동원이라는 사실을 숨기고 있다"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500년간 왕권에 착취당한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동원돼 근대화를 가져다 준 일본에 항일 투쟁을 했다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근거를 내놓고 있다. 특히 3·1 운동이 이권을 빼앗긴 양반가를 중심으로 벌어진 항일운동이었고, 일반 국민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영상의 핵심은 '유관순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먼저, 유관순이 1902년 12월 16일 생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그의 출생일이 매번 달라졌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세상 어느 위인이 이렇게 뒤죽박죽 되어 있는 기록으로 표기되는가"라고 말하고 있다. 이와 함께 "1933년 유관순의 시신이 감쪽같이 유실됐다"면서 "당시 언론 보도도 없었다. 기록이라곤 이화여자고등학교에 있는 이화박물관 유관순의 설명문에 1933년 이태원 공동묘지 개발료 묘가 유실됐다라는 기록만 있을 뿐"이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유관순의 지인들은 묘지에 관한 기록을 적는 묘적부를 작성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역사 기록은 왜 그녀의 시신과 출생기록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는 것일까"라며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의) 필자가 내린 결론은 유관순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은 인물이기 때문이다. 5·18을 연구한 지만원 박사는 자신의 책 '조선과 일본'을 통해 유관순은 시대가 만들어낸 영웅이라 지칭했다. 일본을 격하시키기 위해 만들어 낸 초라한 영웅이라고 인식했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영상에서는 유관순 열사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해 성고문은 없었고 모두 부풀려진 것이며, 특히 우리에게 알려진 유관순 열사의 사진도 본인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근거로는 "동시대 수감된 여학생의 머리만 봐도 보통의 여학생이라면 댕기머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모 또한 여학생이라기엔 너무 겉 늙은 느낌이 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진 속 여성은 동명이인 절도범 유관순이다"라는 주장까지 내놓고 있다.
해당 채널에는 약 4개월 전 첫 영상이 올라왔으며, 유관순 영상 외에도 '일본 731부대의 마루타 인체 실험은 100% 날조다' '항일운동을 했던 독립운동가들은 좀도둑들이다' '정말 위안부는 매춘부일까? 괴물이 된 류석춘' '일본 위안부의 진실 일당 70엔 고수익' '독립운동가 김구가 영웅으로 만들어지는 과정' 등 다소 자극적인 제목의 영상들이 올라와있다. 조회 수도 최소 9천에서 최대 11만까지 적잖은 수치를 기록 중이다. 구독자 수는 현재까지 2만명을 넘어섰다.
영상과 채널이 알려진 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분노하는 댓글들이 줄을 잇고 있다. 누리꾼들은 "진짜 피가 거꾸로 솟네요" "일본에서 돈 받는 인간들이네" "이미 동영상 신고했네요" "진짜 현대판 이완용이네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 누리꾼은 "이 정도 퀄리티에 영상이 올라온 날짜가 빠른 걸 보면 개인이 하기는 불가능하다. 조직이 움직인 거다"라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장영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