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ㆍ인천ㆍ충남이 가세한 중부지방해양경찰청 신청사 유치전이 막을 올린(본보 2019년 8월 6일자 1면) 가운데 결선에서 후보지가 15곳(경기 5ㆍ인천 2ㆍ충남 8)으로 압축, 다음 달 최종 결과가 공개된다. 황해권 치안의 중심이라는 위상, 수천 명이 근무하면서 발생할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이점을 누가 차지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22일 중부해경청에 따르면 중부해경청은 최근 신청사 입지 관련 연구 용역을 마치고 후보지를 28곳에서 15곳으로 줄였다. 고배를 마신 13곳은 용역 과정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거나 지자체 스스로 유치를 포기했다.
앞서 중부해경청은 상위 기관인 해양경찰청이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중부해경청이 사용하던 인천 송도 청사로 입주, 2018년 말부터 인근 민간건물을 임시 사용하고 있다. 이어 지난해부터 신청사 건립을 준비(2023년 착공 예상), 서해안 지자체를 대상으로 후보지를 물색했다. 이 과정에서 유치 의사를 밝혀 용역을 진행한 후보지가 경기ㆍ인천ㆍ충남 9개 시ㆍ군의 28곳이었다.
결선에 진입한 경기도 내 후보지 5곳을 보면 우선 시흥시는 지리적 장점(중부해경 관할구역 중심)을 내세우며 시화와 정왕 등 2곳이 최종 후보지로 결정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어 화성시는 후보지가 1곳(새솔동) 뿐이지만 저렴한 땅값(매립지 부지)을 강조하고 있다. 신안산선을 비롯한 교통망 확충, 도내에서 해안선이 가장 긴 지자체라는 상징성도 관전 포인트다.
끝으로 평택시는 중부해경청 하부 조직인 평택ㆍ인천ㆍ보령해양경찰서와의 근접성이 강점인 가운데 후보지가 2곳(고덕과 포승) 살아 있다.
이러한 도내 후보지와 인천 2곳(송도, 청라), 충남 8곳(당진 대덕, 당진 석문, 보령 신흑 2곳, 서산 성연, 태안 반곡, 홍성 신경 2곳)이 경쟁을 펼치고 있다. 충남 지역은 ‘균형 발전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부해경청 직원 설문조사에서 현재 인천에서 근무하는 인원들의 경인 지역 선호도(주거 여건 고려)가 드러났을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경인 지역이 우세를 보일 수도 있다.
중부해경청 관계자는 “이달까지 용역 분석 작업을 마치고, 신청사 부지 선정 위원회를 5월 중 개최해 최종 후보지를 결정할 예정”이라며 “신중히 검토해서 객관성ㆍ공정성을 담은 결과를 내놓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부해경청은 서해 5도부터 충남 최남단까지 해역을 관할하는 국가기관이다. 중부해경청 산하에는 평택ㆍ인천ㆍ보령ㆍ태안해양경찰서 4곳과 서해 5도 특별경비단 등 총 5개 기관이 있다. 본청 직원은 300여 명이며 산하 경찰서와 경비단 인력까지 포함하면 총 2천300여 명에 달한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