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문이 활짝 열려 있는
나무 위 까치집
저런 곳에 누가 올까 싶지만
그렇다고 문을 닫는 일도 없다
아무도 보이지 않는 수도원이라
바람이 쉬었다 가고 햇볕이 머물다 갈 뿐
작은 새들의 인기척 하나 없어
외딴 수도원이 되어 간다
새끼들이 까고 나온
동그란 껍질의 온기가 남아있는지
나무 아래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야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땅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내 알 바 아니라는 듯
커다란 대문을 하늘로 내고서는
얼굴 한번 보여주지 않는다
바람을 타고 순례하는 나뭇잎들이
문 앞을 기웃거려도
아무 관심을 두지 않는다
세상을 뒤란으로 삼은 수도원
지나가는 행인이 고개 들고 쳐다봐도
무슨 수행을 하는지 알 수가 없어
고개만 아픈데
긴 원행을 다녀온 수행자는
세상을 편안하게 내려다 본다
이종섶
경남 하동출생. 2008년 대전일보 신춘문예시 당선. 수주문학상 시흥문학상 등 수상. 시집 『수선공 K씨의 구두학 구술』 외 2권.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