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에는 화재, 재난 등과 같은 다양한 위험이 존재하는데 이 위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자 여러가지 안전관리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안전관리시설로써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방시설이며 이것은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는 설비, 화재 시 소화를 위한 설비 및 피난 시 피난자의 피난을 위한 설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는 화재 시 피난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설비인 유도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유도등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매일 수 없이 많이 접하지만, 막상 관심을 두고 살펴보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화재 발생 시 생명을 구해줄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소방시설이다. 유도등이란 소방시설 중 피난구조설비에 해당하며 화재시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등(燈)을 말한다. 종류는 피난구 유도등, 통로 유도등, 객석 유도등으로 나눌 수 있고 가장 많이 만나는 것이 ‘피난구 유도등’이라 할 수 있다.
‘피난구 유도등’은 실내의 모든 출입문 위에 설치된 불이 켜진 상자로서 우리에게 친숙한 녹색바탕에 사람이 뛰어가는 형상이 새겨져 있다. 이 유도등이 설치된 문을 열고 나가면 직접 지상으로 나가거나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로 피난할 수 있다. ‘통로 유도등’은 건물 외부로 나가는 피난구의 방향을 명시하는 것으로써 복도에 설치된 복도통로 유도등, 거실ㆍ상가매장 또는 주차장 등 개방된 통로에 설치된 거실통로 유도등, 계단이나 경사로에 설치된 계단통로 유도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객석 유도등’은 어두운 영화관, 공연장 무대부 등의 객석통로나 바닥, 벽 등에 설치되어 피난을 안내하는 등이다. 모든 유도등은 평상시 불이 켜져 있어야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평상시 불이 꺼져 있다가 화재 등 비상시에만 켜지는 특수한 때도 있다.
지금까지 유도등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유도등은 화재시 우리를 화재발생장소에서 건물 밖 안전한 장소로 피난을 도와주는 안내자이다. 따라서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담당자는 평소 이런 안내자가 잘 작동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건물입주자나 방문자도 건물출입 시 각종 유도등의 설치위치를 주의 깊게 살펴두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런 대비태세는 평소 충분한 설비 이해와 훈련이 있어야 가능함을 명심하고 화재안전에 최선을 다해야 하겠다.
장정규 한국소방안전원 경기지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