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185억 투입 88명 직원 배치 ‘수요 맞춤형 여객운송’ 실현
경기도, ‘출자계획 동의안’ 도의회 접수… 광역교통시설 확충 기대
경기도 대중교통시설 확대와 효율적 운영을 위해 설립되는 경기교통공사가 이르면 오는 9월 문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3년간 185억 원을 투입해 총 88명의 직원을 경기교통공사에 배치하고, ‘수요 맞춤형 여객자동차 운송사업’(고객 중심의 노선 변동형 대중교통) 등 각종 대중교통 관련 업무를 담당토록 할 방침이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0년도 경기교통공사 출자계획 동의안’을 지난 29일 경기도의회에 접수했다. 경기도의회는 오는 9일부터 24일까지 열리는 제344회 정례회에 심의안건으로 올려 동의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동의안에는 출자금을 비롯해 주요사업, 설립근거, 조직, 사업 개요와 필요성 등의 내용이 담겼다.
동의안을 보면 경기교통공사는 사장, 1본부, 5부(팀) 등 총 88명의 직원(일반직 25명, 운전직ㆍ정비직 등 63명)으로 구성되며, 경영지원부ㆍ버스운영센터ㆍ준공영운영부ㆍ철도운영부ㆍ교통시설부 등으로 나뉘어 업무를 진행한다.
주요사업은 대중교통전담 컨트롤타워로서 ▲여객자동차운송사업 ▲노선입찰제 기반 버스준공영제 관리 ▲철도운영 및 관리 ▲광역교통시설 확충 등이다.
도는 경기교통공사의 수익사업 안정화 시기까지 3년간 경상비와 자본적 지출의 합을 출자금으로 산정, 185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도는 이번 정례회에 ‘경기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안’도 함께 상정, 경기교통공사 출범에 대한 근거도 마련한다.
해당 조례는 경기교통공사의 사업을 규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특히 도지사가 공사에 출자금이나 보조금을 교부할 수 있게 하고, 공사채 발행ㆍ상환을 보증할 수 있는 근거도 담겼다.
경기도 교통정책과의 한 관계자는 “경기교통공사는 대중교통시설 확대와 효율적 운영의 주역이 될 것”이라며 “노선입찰제 기반 버스준공영제 사업은 물론, 경기도민을 위한 다양한 교통정책을 수립,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