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안정성 다 잡아… ‘성동행복한돌봄’ 등 대표적 성공사례
학교서 → 지자체로 운영 전환, 체계적 교육 필요성 목소리도
맞벌이 가구 증가로 사교육 기관에 대한 의존도가 커진 가운데 ‘돌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사회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4일 경기도의회 김포상담소에서 ‘2020 경기도 상반기 정책토론 대축제-방과 후 아동 돌봄과 따뜻한 마을 공동체 조성방안 모색’을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정하영 김포시장, 신명순 김포시의회 의장, 서남권 경기도 소통협치국장, 정경동 김포시교육지원청 교육장 등을 비롯해 공무원, 도민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토론회 좌장은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심민자 의원(더불어민주당ㆍ김포1)이 맡았다. 안영미 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평화 이사장은 ‘서로 돌봄을 통한 따뜻한 마을공동체 조성방안 모색’을 주제로 발표했다. 종합토론회에는 송현미 참교육학부모회 김포지회 사무국장, 문선영 김포시 여성가족과장, 이영미 김포시교육지원청 마을교육공동체지원팀장, 이미란 김포시 수정마을 우리아이행복돌봄센터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우선 안영미 이사장은 변화된 사회 구조에 따라 보육 책임이 가정에서 사교육 기관으로 넘어간 점을 지적했다. 이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파생한 만큼 지역사회의 돌봄 공동체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안 이사장은 “주민들이 함께 돌보는 양육서비스 구축을 통해 공공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 주민이 함께 구체적인 사업을 추진할 수 있어 지역 맞춤형 요구를 해결하는 모델이 된다”며 “60세 이상의 여성을 고용,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성동행복한돌봄’과 공동 육아와 방과 후 학교운영 등을 통해 마을 단위로 보육 문제를 해결한 ‘광진아이누리애’ 등 사회적협동조합의 긍정적 사례도 존재하는 만큼 김포에서 벤치마킹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송현미 사무국장은 지자체 책임의 마을형 돌봄 체계 구축 필요성을 역설했다. 송 사무국장은 “학교장 책임 아래 최소한의 수준에서 운영되는 초등 돌봄, 방과 후 수업을 대신해 지자체가 책임지고 운영하는 돌봄 운영 체계 전환이 필요하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강사와 학생을 관리하고 교육강좌를 개설하는 등 체계적인 교육거버넌스를 구축한 서울 도봉구의 사례도 참조할 만 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문선영 여성가족과장은 “현재 김포시는 구도심과 신도시 간 지역 격차가 존재하며 신도시 지역은 30~40대 부부에게 필요한 돌봄 제공기관이 부족한 상황이다”며 “시는 신규 공동주택 단지 돌봄센터 설치 의무화 추진을 비롯해 단지 내 돌봄 공간 확보를 위한 절차 간소화와 설치기준 유연화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