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민주항쟁 다룬 영화 ‘그의 진실이 전진한다’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6월은 유독 국가에 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고 그 중 ‘6월 민주항쟁’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민주주의를 되찾기 위해, 거짓으로 가득 찬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 헌신한 분들이 떠오른다. 그분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 자유를 누리며 살고 있는 것이다. 6월 민주항쟁을 다룬 단편영화 ‘그의 진실이 전진한다’는 6월 민주항쟁 당시 부패한 지배집단에 의해 무력으로 고통당하고 고문당하던 젊은 청년에 대한 영화다.

영화는 물속에 가라앉고 있는 십자가로 시작한다. 그리고 물속에서 들리는 웅웅거리는 음성으로 성경 말씀이 들려온다. 막혀 있는 듯 울림 섞인 음성에 의해 영상이 더욱더 답답하게 느껴진다. ‘잠기고 있는 십자가’와 ‘진실’이 관계를 이루는 이유 중 하나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관련이 있다. 은폐돼 가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내막이 드러나게 된 계기가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에 있다. 게다가 십자가는 가톨릭교에서 가장 숭고하게 여겨지는 도구로, 많은 사람이 이 앞에 무릎을 꿇고 죄와 진실을 고백한다. 십자가는 ‘진실’과 ‘진리’를 상징하는 그 자체로 여겨진다. 영화는 이런 십자가가 가라앉고 있는 이미지와 함께 시작된다. 또한 ‘물’이라는 요소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이 청년이 당하던 물고문이 연상된다. 물은 투명하다는 성질이 있다. 그렇다면 속이 있는 그대로 보이는 정직한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십자가의 형체는 물속으로 가라앉으면 앉을수록 왜곡된다. 그리고 깊게 가라앉아 더는 윤곽마저 흐릿해진다. 분명 투명한 물이지만 진실을 엄폐해버리는 모습은 아이러니하게 다가온다.

영화 속 배경은 고문실로 종착한다. 청년은 경찰에게 붙잡혀 물고문까지 당하며 취조를 받고 있다. 물과 대조되게 불순물이 섞여 있는 탁한 커피를 형사들이 홀짝인다. 색이 섞인 커피는 내막이 제대로 비춰지지 않는다. 그들의 실체는 커피와 비슷하다. 그 잔인한 장면은 영화 프레임 안에 CCTV 화면 프레임으로 보인다. 액자식 구성 속 간접적으로 보이는 그 화면을 감상하고 있으면 그 상황을 방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 마음이 찜찜하다.

이 영화는 서사가 이어진다기보다 상징이 뚜렷한 씬들이 나열돼 있다. 각각 다른 장소들과 다른 역들로 말이다. 상징적으로 비유되고 있는 씬들이 우선으로 보이고 그 이후에 실상이 드러난다.

영화는 탁하며 거짓과 눈속임이 만연한 현실 속에서 진실을 마주하려는 움직임이 계속돼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지배집단에 의해 겉으로 보이는 것을 무조건 수용하는 수동적인 사람이 아니라 진실을 마주하고 불의와 맞서는 사람이 돼야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영화를 통해, 글을 통해, 그림을 통해, 다큐멘터리를 통해, 또한 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진실이 묻히고 가려지지 않도록 온몸으로 아우성쳐야 한다. 언제나 악한 거대 무리가 존재하더라도 결국에는 진실이 승리하기를 바란다.

성남 계원예술고 강혜빈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