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민집회가 30일 광명시민운동장에서 열렸다.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반대 공동대책위(대책위) 주관으로 열린 이날 집회는 지역 국회의원과 시·도의원, 시민사회단체장, 시민 등 1천여명이 참여해 한 목소리로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에 반대했다.
이승봉 대책위 공동위원장은 “광명 한복판에 차량기지가 들어오면 우리 자녀들에게 물려줘야 할 환경과 성장 잠재력이 처참히 밟힌다”며 “광명 시민 한 뜻으로 차량기지를 막아내자”고 밝혔다.
박승원 광명시장도 “구로차량기지를 광명시가 받아야 하는 정당성과 당위성이 떨어진다”며 “31만 광명 시민의 일관된 요구를 무시한 채 국토부가 일방적으로 이전을 강행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차량기지 논란의 시발점은 구로구 민원 해소이며, 구로구 민원 해소를 위해 광명시가 일방적인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게 대책위 입장이다. 또한, 애초 이전 핵심 조건이었던 보금자리지구 개발이 지난 2014년 9월 해제되면서 구로차량기지 이전 역시 백지화됐어야 하는데도 국토부는 일방적으로 사업을 진행해왔다는 것이다.
특히 광명시는 수차례에 걸쳐 국토부에 낸 의견서를 통해 구로차량기지 이전의 전제조건이었던 보금자리지구 지정이 해제된 만큼 구로차량기지 이전도 소멸돼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광명의 허파인 도덕산과 구름산 산림축 훼손, 노온정수장 오염 등도 우려된다는 게 광명시의 입장이었다.
박철희 공동대책위 집행위원장은 “광명시의 반대에도 국토부는 기본계획 수립 관련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지난해 3월11일~4월19일 공람·공고를 진행하는 등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국토부를 제외한 관계 부처 누구도 차량기지 이전을 원하지 않는다”며 “구로구민 민원 해소를 위해선 현 위치에서 지하화가 마땅하다. 구로구 민원을 왜 광명까지 연장하려 하느냐”고 말했다.
한편 관계기관 협의를 마친 국토부는 조만간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협의를 거쳐 기본계획 고시와 실시설계에 들어가 오는 2027년까지 이전 사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광명=김용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