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계 폭력, 반드시 근절돼야

경주시청 철인 3종 경기팀 최숙현 선수가 가혹행위에 시달리다 최근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최 선수가 세상을 등진 이유는 이 팀의 감독과 동료선수 등이 가한 폭행과 폭언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 선수에게 가해진 집단폭력은 우리나라 체육계가 아직도 인권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약자에 대한 강자의 갑질이 우리 사회 곳곳에 퍼져 있다는 것을 한 번 더 드러나게 했다.

수사기관의 정확한 조사결과가 나와야겠지만 최 선수에 대한 집단폭력이 자행된 배경에는 체육계의 ‘성적 만능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과거 우리나라 국가대표 쇼트트랙팀에서도 폭력사태가 불거진 바 있다.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 대회 등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 많은 혜택이 주어진다. 국민들도 메달을 딴 선수들에게 열광하고 언론 매체들은 좋은 성적을 거둔 선수들을 집중 조명하며 국가적 영웅으로 대접한다. 메달리스트들에게 쏟아지는 찬사는 체육계의 어두운 부분을 가린다. 선수 선발과정에서 금품이 오가거나 훈련 과정에서 성추행 혹은 가혹행위가 불거지는 등 우리나라 체육계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성적만 좋으면 문제없다는 식의 사고방식이 자리 잡은 것 아닐까. 이 때문에 감독이나 코치의 강압적 지도방식이 어느 정도 용인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일이 더이상 반복되지 않기 위해선 체육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체육인 인권센터’를 설치해 운영해야 한다. 폭력행위 피해자라면 누구나 센터에 신고할 수 있고 곧바로 조사가 진행돼야 한다. 체육인 인권센터 조사 결과, 인권침해나 위법 사례가 발견되면 사건을 수사기관에 신속히 넘겨 가해자를 처벌토록 하면 유사한 사건이 줄어들 것이다. 이번만큼은 체육계에서 자행되고 있는 인권침해 사건들이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

수원 조원고 서재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