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경기교육] 중·고교생 자원봉사활동...의무 아닌 가치 우선돼야

많은 중고등학생이 학교 교육과정상 1년에 20시간을 이수해야 하는 자원봉사를 그저 ‘골칫덩어리’ 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청소년들 중에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해 자원봉사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첫째로 본래 의도와는 달리 청소년들이 진정으로 원해서 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자원봉사의 정의에서의 키워드는 ‘자발적으로’이다. 하지만 청소년들 중에서는 ‘봉사활동 인정시간’을 목표로 자원봉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더 솔직하게 이야기하자면 봉사활동 상황은 입시에 영향을 미치고, 상당수의 청소년들은 이를 만족시키고자 원하지 않는데도 자원봉사를 한다.

둘째로 기준이 시간이라는 점이다. 학교생활기록부에 봉사활동이 시간으로 기록된다는 것은 굉장히 큰 문제다. 실제 청소년들이 어떤 자원봉사인지, 이 자원봉사의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시간만 보고 신청하는 경우도 많고 알고 참여했다고 하더라도 제대로 활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시간을 자원봉사의 기준으로 두었을 때 청소년들이 ‘무엇에’, ‘어떤 시간 동안’ 참여했는지는 알 수 있지만 ‘어떻게’ 참여했는지는 전혀 알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자원봉사에 있어서 중요시하는 가치도 노력이나 나눔, 사회의 발전보다는 해야 하는 일에 대한 인증 시간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들로 청소년들의 자원봉사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않다.

학교생활기록부에 자원봉사 상황을 기록하되 ‘시간’이 아닌 ‘활동’으로 기록하자는 것이다. 학생이 어떤 계기로 이 자원봉사에 참여하게 됐는지, 학생이 이 자원봉사에 참여해 한 일은 무엇인지, 또 이를 통한 느낀 점은 무엇인지를 기재하게 한다면 청소년들은 자신이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목적을 생각해보고 그에 맞는 자원봉사에 참여해 더 적극적으로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계기, 활동, 느낀 점과 같은 것은 ‘자신이 자발적으로’ 자원봉사에 참여했다면 적어도 한 번쯤은 생각했을 것이기에 이 시스템은 그리 복잡하지 않고 자원봉사 본래 의미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조연우 의왕 갈뫼중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