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대장 신도시에 지하철을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사업시행자인 LH는 지하철노선 반영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27일 부천시와 시의회, 민주당 부천정 지역위원회 등에 따르면 대장동, 오정동, 원종동 일원 300만435㎡에 2만가구 규모의 3기 신도시가 조성된다. 인천 계양과 서울 마곡 등과 연결되는 기업벨트 조성을 위해 S-BRT를 중심으로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인천 계양지구와의 교통 연계성을 위한 통합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수립되고 있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 심의를 거쳐 연내 확정될 전망이다. 구간은 인천 계양지구에서 부천 대장지구를 거쳐 부천종합운동장까지 15㎞이다. 대장지구에서 종합운동장까지 사업비는 3천억여원으로 추산된다.
이런 가운데, 부천시는 대장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대책으로 제시된 S-BRT보다 원종~홍대선 지하철 노선의 대장신도시 연장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S-BRT 공사로 인한 주거환경 피해의 집단민원 발생과 지역단절, 유지비 관리의 부천시 부담 등이 우려돼 S-BRT는 철회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지적이 제기되자 시의회는 대장지구 S-BRT 철회 및 철도계획 조속 추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의회는 대장지구 S-BRT 철회 및 철도계획 조속 추진 촉구 결의안을 통해 “대장지구에 도입하려는 S-BRT는 기존의 간선 급행버스체계를 지하철수준으로 향상시킨 최고급형 BRT라고 하지만 S-BRT는 GTX-B노선의 종합운동장역에 환승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것에 불과, 대장지구 광역교통대책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주삼 시의회 도시교통위원장은 “더 큰 문제는 S-BRT노선이 도당동 등 원도심을 지하로 관통한다는 사실이다. 향후 유지관리도 시의 부담이 될 것이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수혜는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시설공사와 시설물의 부속시설 등으로 주거환경에 피해를 받을 것임은 불보듯 뻔하다”며 “대장지구 입주민과 기존 부천 주민들의 광역교통 편의를 위해 대장지구에 계획된 S-BRT계획 철회와 대장∼원종∼홍대 지하철 및 GTX-D 노선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 관계자는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시범사업인 S-BRT로는 대장지구의 광역교통체계가 되지 못한다”면서 “홍대~원종선을 대장동으로 연장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LH 관계자는 “원종~홍대 지하철 노선은 예타도 통과되지 않아 대장신도시의 광역교통체계로 반영하기 어렵다”면서 “오는 2026년부터 오는 2029년까지 입주가 순차적으로 이뤄지는데 S-BRT를 운행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