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경기교육]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점

코로나19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종종 세균과 바이러스 차이를 제대로 알지 못해 두 단어를 혼동해 사용해 오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세균과 바이러스의 특성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혼동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

과학 전문지와 사전 등을 인용하면 우선 구조부터 세균과 바이러스는 다르다. 세균은 하나의 미생물로 독립된 세포다. 세균은 세포막, 핵, 세포벽 등으로 이뤄져 있다. 단세포 생물로 스스로 살아갈 수 있다. 세균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 상태에서 먹이만 공급된다면 스스로 살아 가며 번식까지 이뤄진다. 이런 특징 때문에 세균은 실험실에서 배양하기 비교적 쉽다. 실험실 배양이 쉽기 때문에 샘플을 확보하기 좋고 자연스럽게 샘플을 활용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이와 달리 바이러스는 단순한 구조로 이뤄져 있다. 단백질로 둘러싸여 있는 핵은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숙주가 있어야만 존재할 수 있다. 바이러스가 사물로 옮겨간 상태에서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멸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이는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샘플을 얻기 어렵고, 이 때문에 관련한 실험이 활발하게 이뤄지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바이러스 표본을 확보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백신을 만들기도 쉽지 않다. 세균이 주로 일으키는 질병은 식중독, 콜레라, 파상풍, 결핵 등이다. 바이러스로 인해 인플루엔자,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이 발생한다. 일상에서 세균과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손을 깨끗하게 자주 씻는 것이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열처리할 수 있는 집기들은 열처리해 주는 것도 바이러스를 없애는 좋은 방법이다. 우리는 손을 자주 깨끗하게 씻어 모든 바이러스와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

조민서 안양 귀인중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